[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보복 소비'를 타고 급성장한 명품 브랜드 시장이 최근 경기 둔화로 인해 급속도로 얼어붙고 있다.
8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최근 고급 브랜드들은 넘쳐나는 재고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컨설팅기업인 베인앤드컴퍼니는 세계 고급 패션 브랜드 시장의 올해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약 3.7% 성장한 3620억 유로(약 514조원)로 전망했다.
이는 2021년 31.8% 성장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20.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인 것과 비교해 저조한 성장률을 보인 셈이다.
팬데믹 이후 소비자들의 보복 소비가 한풀 꺾인 데다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경기가 둔화되면서 소비자들의 지갑이 닫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재고가 넘쳐나자 명품 브랜드들은 이례적으로 할인 판매를 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유럽 온라인 명품 쇼핑몰 '마이테리사'는 "2008년(세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시장 상황을 겪고 있다"면서 "지난 3분기 말 기준 재고가 1년 전보다 44%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통상적으로 일반 패션기업들은 대폭 할인 판매로 재고를 소화하지만 명품 브랜드들은 백화점의 할인 판매를 단속하며 제품이 비공식 재판매상으로 유입되지 않기 위해 애쓰고 있다. 자신들의 '고급 이미지'를 지키기 위해서다.
버버리의 경우 백화점에서 안 팔린 재고를 도로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늘어나는 재고로 인해 어려움을 겪자 명품 브랜드들이 직접 비공식 재판매상들에게 직접 연락을 취하고 있는 움직임도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WSJ은 "매장들이 쌓이는 재고로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면서 최근 몇 달 동안 비공식 재판매상들이 명품 브랜드들로부터 직접 재고 판매를 제안하는 연락을 받는 징후가 있다"고 보도했다.
과거에는 명품 브랜드들이 재고를 헐값에 팔 바에야 아예 태워버리는 식으로 대응하기도 했으나 올해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패션 제품 소각을 법으로 금지하자 이 같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