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
"부동산 PF도 전반적으로 안정"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
"부동산 PF도 전반적으로 안정"
[파이낸셜뉴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1일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손실이 시스템 리스크를 유발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또 일부 투자 건의 손실 사례가 시장 전반의 부실로 확대 해석돼 불필요한 불안을 유발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시장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함께하는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리스크 △증권사 외화유동성 △퇴직연금 관련 자금 이동 △여전사 자금조달 상황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등 금융시장 잠재 위험요인으로 지적되는 여러 이슈의 현황과 리스크 수준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먼저 금융당국은 글로벌 부동산 시장 위축 장기화시에도 금융회사의 손실 가능성이 적다고 진단했다. 국내 금융회사의 총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는 55조8000조원으로 금융회사 총 자산의 0.8% 수준이다. 이에 향후 부정적 충격으로 손실이 확대되더라도 지금의 손실 흡수 능력으로 금융권이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는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자산 가치가 큰 폭으로 추가 하락하는 등 엄격한 스트레스 조건을 부과해도 2024년 전 금융권의 최대 손실액은 금융권 자기자본 대비 미미한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해외 주가 하락 등 충격이 발생한 경우 증권사들의 외화 유동성 조달 능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모든 해외 주가지수가 동시에 급락하더라도 현재 증권사가 보유하고 있는 외화 유동성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2021년부터 증권사별 주가연계증권(ELS) 자체 헤지 관련 외화 조달 비상계획 수립이 의무화 돼 외화조달 안전망이 더 강화된 측면이 있는 만큼, 해외 주가 하락으로 인한 마진콜 리스크는 관리 가능한 범위 안에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금융위와 금감원은 12월 만기 집중에 따른 퇴직연금 관련 자금확보 경쟁이 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금리 커닝공시 방지 등 제도개선을 추진했다. 이에 12월 확정된 원리금 보장상품 평균 금리는 4.13%로 전월(4.32%) 대비 소폭 하락했다. 고금리 경쟁도 나타나지 않았고 자금쏠림으로 금융시장 불균형이 발생하거나 개별회사 자금 유출로 인한 유동성 위험이 현실화 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여전사 자금조달 상황에 대해서는 여전채 발행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전채 금리(3년 만기, AA-)가 지난 6월말 4.6%에서 9월말 4.97%, 10월말 5.28% 등 꾸준이 오르다가 지난 11월말 4.64%로 소폭 내렸다. 다만 예상치 못한 시장 충격이 발생할 경우 신용도가 낮은 일부 여전사에서 유동성 압박이 심해질 우려가 있어 금융당국은 이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과 유동성 지원을 위해 필요한 조치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9월말 기준 2.42%로 6월말(2.17%) 대비 0.24%p 상승했으나 전반적으로 안정된 상황이라 평가했다. 상호금융의 연체율 상승(+3.05%p)는 일부 대규모 사업장 연체가 반영된 결과로 업권의 건전성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김 부위원장은 "PF 사업장의 점진적인 연착륙 조치를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며 "PF 리스크가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시장상황에 대한 면밀한 밀착 모니터링을 지속하면서 금융업권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계획으로 김 부위원장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금융시장간 연계성이 커지고, 리스크의 전이 및 확산 속도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이 빨라졌다"며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파악할 수 있는 모든 위험 요인에 대해 한 치의 소홀함 없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는 분야별 리스크 점검을 위한 6차 회의로, 금융위·금감원은 앞으로도 분야별 잠재 위험 요인에 대한 선제적 관리 노력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