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BOK 경제연구: 국내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
[파이낸셜뉴스]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강수량이 증가하는 등 국내 만성 기후변화가 다양한 산업 및 금융 부문에도 영향을 준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거시 경제의 장기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라도 기후변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정부와 금융권 관심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18일 한국은행은 'BOK 경제연구: 국내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분석 결과 연간 총강수량이 1m 증가하면 일인당 지역내총생산은 2.54%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 실외 생산활동이 많고 노동생산성 영향을 크게 받는 △건설업(-9.84%)과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6.78%) △금융 및 보험업(-3.62%)에서 부정 영향이 컸다.
연 평균기온 상승에 따른 일인당 지역내총생산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일부 산업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 대표적으로 평균 기온 1℃가 올랐을 때 도매 및 소매업(-1.85%)과 부동산업(-1.73%) 등에 피해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를 종합해 연 평균기온과 연 총강수량이 실질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기후변화 영향이 5년간 누적되는 상황을 가정한 결과 산업별로는 △건설업(-4.90%) △부동산업(-4.37%) △섬유 의복 및 가죽제품(-2.53%)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1.76%) △금융 및 보험업(-1.13%)에서 피해 영향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부동산업은 냉방시설을 확충하는 설비 비용이 증가하거나 에너지 사용 증가에 따른 비용이 늘어날 수 있고, 도소매업은 재고의 유지 비용이 증가하거나 직간접적인 재고자산의 피해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금융권의 경우 건물이나 차량 등에 침수 피해 등이 있을 때 이에 따른 보험금 지급이 늘어나거나 혹은 보험을 통해 손실을 보전하지 못한 차주는 이 영향이 금융 손실로 전이될 수 있다.
또 지역별로는 위도상 남쪽에 위치하거나 도시화 및 산업화 비중이 높은 지역인 제주(-3.35%), 경남(-2.39%), 대전(-1.54%), 부산(-1.31%), 대구(-1.03%), 인천(-0.93%), 울산(-0.88%), 서울(-0.75%) 등에서 피해 영향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비교적 기온이 높고 산업화가 덜 된 지역은 불투수면 면적이 넓어 강수량 피해를 크게 입는 특징이 있다.
특히 이지원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지구 평균 기온 상승에 따라 국내 기후조건이 다변화해 현재까지 관측된 중간값보다 더 높은 수준의 평균기온과 총강수량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며 "본 추정치는 홍수, 가뭄, 산불 등 급성 리스크로 인한 직접적 피해 영향에 대한 예측은 포함하고 있지 않아 이를 고려할 경우의 피해 수준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보고서는 거시 경제의 장기 성장을 위해 거시경제 물리적 리스크를 줄이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와 금융권, 각 산업군에서도 장기적인 물리적 리스크를 식별, 평가, 관리하는 데 힘써야 한다는 조언이다. 근본적으로는 탄소 중립에 대한 노력이 필수적이고 이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다만 기후변화에 따른 물리적 리스크와 탄소 중립 이행 리스크를 함께 고려했을 때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이 과장은 "이 두 가지는 서로 상충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에 대해선 좀 더 많은 분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