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높아진 금융부담에' 올해 부실징후기업 231개사..전년보다 46곳 늘어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18 12:00

수정 2023.12.18 14:28

고무 플라스틱, 자동차, 부동산업 등에서 상대적 큰 폭 증가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2023.10.25. kgb@newsis.com /사진=뉴시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2023.10.25. kgb@newsis.com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올들어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부담에 부실징후기업이 전년 대비 46개사 늘어난 231개사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고무·플라스틱, 자동차, 부동산업 등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하는 한편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극복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231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전년 대비 46개사 증가했다.


등급별로는 C등급이 118개사, D등급이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사, 12개사 늘어났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9개사, 중소기업이 222개사로 전년보다 각각 7개사, 39개사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은 지난 2020~2021년 코로나 기간동안 감소했다가 지난해부터 증가추세로 전환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대내외 경기부진 및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올들어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데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부실징후 기업은 부동산(22개),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전년 대비로 살펴보면 고무·플라스틱(11개), 자동차(8개), 부동산업(7개), 도매·상품중개업(6개) 등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 증가했다.

다만 부실징후기업 증가가 국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에 따르면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2조7000억원 수준(올해 9월말)으로 이중 은행권 신용공여가 73.4%를 차지한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500억원이며, 이에 따른 BIS 비율 변화폭 또한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자구계획 전제 하에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고,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유도하여 부실을 신속히 정리함으로써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방침이다.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지원도 강화한다.

영업력은 있지만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극복을 지원한다.


아울러 경영위기 중소기업이 유관기관(산업부·중기부) 지원을 폭넓게 받도록 은행권이 거래기업에 지원제도를 안내·추천하고 공동 금융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