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특화 건설로봇 연구에 심혈
건설현장 협동로봇 솔루션 개발
해킹등으로 시행착오 겪을 우려
기술신뢰도 향상·정책보완 필요
국내 건설현장에는 과거에 볼 수 없었던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건설현장 협동로봇 솔루션 개발
해킹등으로 시행착오 겪을 우려
기술신뢰도 향상·정책보완 필요
이를 위해 자체 연구개발(R&D)뿐만 아니라 타 업종과 공동 기술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은 '건설로봇 분야 생태계 구축 및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사는 현재 건설로봇 현장 보급 활성화를 위한 실증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안전 특화 로봇 연구도 협력하고 있다.
또 지난해 7월에는 로봇 전문회사인 두산로보틱스와 삼성물산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건설현장의 협동로봇 솔루션을 개발하고 로봇 기술컨설팅을 위한 것이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로봇 등 디지털 기술 개발은 초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지만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비용절감과 기술효과는 무한대"라며 "미래를 내다보고 꾸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건설 효율화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한 예로 싱가포르의 경우 인허가를 받을 때 스마트기술이 적용된 '빔(BIM)모델'을 쓴다. 이 모델을 웹에 올리면 자동으로 오류를 모두 검토한다. 또 법적 문제도 한번에 체크할 수 있다.
신지욱 경상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도 싱가포르 모델을 바탕으로 인허가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설계도서 자동 검토기능"이라며 "이를 통해 안 써도 되는 인력들이 다시 투입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정교하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일례로 최근 스마트건설 분야에서 노후건축물 유지·관리 등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를 실제로 도입하기에 앞서 시범사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안형준 건국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스마트건설은 안전한 건설, 정밀한 건설, 고객이 만족하는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런 것들은 바람직하지만 스마트건설이 잘못 작동해 예기치 않은 시행착오를 겪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 결국 주민들의 피해가 수반되기 때문에 사전에 신뢰도를 높이는 실험을 많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해킹 등 기술발전과 관련된 제도 보완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 교수는 "건물 유지·관리 등이 모두 자동화될 경우 해킹의 문제가 있다. 이 점이 해결되지 않으면 도입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 "스마트건설 관련 법도 많이 생겨서 기술과 정책이 같이 가야 하는데, 보통은 기술이 앞서 있고 정책이 뒤늦게 따라와서 문제를 겪는다"며 "제도들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지안 성석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