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연초부터 쏟아지는 CB 물량... '주가 하락 주의보'

김찬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08 05:00

수정 2024.01.08 05:00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사진=뉴스1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사진=뉴스1

주요 상장사 CB, BW 전환 추가상장 추이 그래프
상장일 종목 추가 발행주식수 발행사유 발행가 현주가 등락률
1월2일 SG 137만3626주 사모 CB 전환 1456원 1683원 15.59%
HLB생명과학 1만9200주 BW 신주인수권 행사 8889원 1만330원 16.21%
1월 3일 네오셈 109만9829주 사모 CB 전환 3546원 1만980원 209.64%
동일철강 97만4930주 사모 CB 전환 2154원 1829원 -15.08%
1월 4일 엔바이오니아 12만5535주 사모 CB 전환 6771원 1만5500원 129%
하이로닉 44만7626 사모 CB 전환 6702원 9820원 46.52%
1월 5일 와이더플래닛 7만1428주 BW 신주인수권 행사 1만9600원 2만800원 6.12%
한국유니온제약 5902주 BW 신주인수권 행사 4992원 4980원 -0.24%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

[파이낸셜뉴스] 새해 초부터 상장사들의 전환사채(CB) 물량이 신주로 전환돼 주식시장에 쏟아지고 있다. 지난달 코스닥시장이 상승 랠리를 이어가자 채권을 주식으로 바꿔 차익실현을 노리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진 탓이다.

증권가에서는 “CB 전환으로 주식이 추가 상장되면 주주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며 “대규모 물량이 풀릴 경우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7일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KIND)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일주일 새 사모 CB 물량이 추가로 상장된 기업은 SG, EDGC, KH전자, 네오셈, 동일철강, HLB제약 등 모두 12곳이다.

지난 2일 아스콘 제조기업 SG는 137만주에 해당하는 CB가 주식으로 전환했다.
CB의 전환가액은 1456원으로, 현 주가(1683원) 대비 15.60% 낮아 투자자들은 매도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같은 날 EDGC와 KH전자도 각각 66만주, 33만주를 추가로 상장됐다.

3일에는 반도체 검사장비 전문기업 네오셈이 109만주를 추가 상장했다. 네오셈의 현재 주가는 1만980원으로 CB 전환가액(3546원) 대비 3배 이상 높다.

이 밖에 엔바이오니아, 하이로닉이 사모CB 전환으로 12만주, 44만주를 추가 상장했다. 전환가액은 각각 6771원, 6702원으로 당장 주식을 팔면 각각 128%, 46%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을 통한 추가상장 물량도 대거 유입됐다. 지난 2일 HLB생명과학은 국내 공모 BW 신주인수권 행사를 위해 1만9200주를 추가 상장했다. BW 전환가액은 8889원으로 현 주가(1만330원) 대비 약 16% 낮다.

5일에는 와이더플래닛, 한국유니온제약이 각각 7만1428주, 5902주를 추가 상장하면서 주식물량이 확대됐다.

오성첨단소재(15일), 리노스(16일) 에이치앤비디자인(18일) 하이드로리튬(18·22일), 바이온(25일) 등의 CB가 이달에 주식으로 전환, 상장될 예정이다.

문제는 CB 물량이 추가 상장될 경우 기존 주주들의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 물량이 차익실현을 위해 시장에 풀리면 수급상 균형이 무너지면서 주가 하락을 피하기 어렵다.

자본시장연구원 황세운 연구위원은 “일반적으로 CB 발행에 따른 가격 반영은 전환사채 발행이 의결되는 시점에 나타나지만 상장 후 전환가액보다 주가가 높은 경우 차익실현을 위한 대규모 매도 물량이 풀리게 되면서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경우 수급상의 균형이 일시적으로 무너지고, 가격 변동성이 높아져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B와 BW를 반복적으로 발행하는 경우 해당 기업의 재무 건전성 등을 점검한 다음에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실제로 네오셈은 투자경고 종목에, 와이더플래닛은 투자위험 종목에 각각 지정됐다. KH전자는 2022년 사업보고서 감사의견 거절 등으로 상장폐지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황 연구원은 “CB나 BW는 중견, 중소기업들이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다만. 반복됐을 경우 재무건전성 부분 등에서 악재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hippo@fnnews.com 김찬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