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자본을 쌓도록 요구하는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가 도입될 예정이어서 금융지주사들은 영구채 활용도를 높이는 상황이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공모 회사채 발행시장에서 신한지주, BNK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등이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에 나선다. 우리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도 영구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신한지주는 오는 23일 2700억원 발행을 목표로 수요예측에 나선다. 교보증권, DB증권, 한양증권 등이 공동 대표주관을 맡았다. 흥행시 최대 4000억원까지 증액할 계획이다.
BNK금융지주도 같은 날 2000억원 모집을 목표로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한양증권이 대표주관을 맡았다.
메리츠금융지주는 오는 29일 1500억원을 목표로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NH투자증권과 신한증권이 공동 대표주관을 맡았다. 수요예측에서 넉넉하게 자금이 몰릴 경우 2000억원까지 발행을 늘리기로 했다.
우리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는 수요예측일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조만간 영구채를 발행키로 방침을 정했다. 이들 지주사는 지난해 말 공시를 통해 공모시장에서 각각 2800억원, 2700억원 규모 영구채 발행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자금조달 목적은 채무상환이다. 앞서 이들은 "기타기본자본 확충을 통해 BIS 자기자본비율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었다.
금융지주사들은 후순위채권 발행으로 BIS 총자본비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지난 2019년 '바젤Ⅲ'가 전면 시행되면서 은행과 지주사들은 BIS 비율을 14% 이상 유지하도록 권고받고 있다.
특히 기업 및 가계 대출이 증가하면서 계열사들의 자금 수요가 커진 데다 2019년 대거 발행한 영구채의 콜옵션 스텝업이 올해 본격화하고 있다. 게다가 금융당국이 은행권 손실 흡수능력 제고를 위해 오는 5월까지 1%의 경기대응완충자본(CCyB)을 추가로 적립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올해 말부터는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까지 도입될 전망이다. 이 제도는 위기 상황을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은행에 의무적으로 자본을 더 쌓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한화투자증권 김도하 연구원은 "경기 하강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 가운데 은행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는 현 상황은 실적 및 주주환원에 대한 불확실성을 재차 확대하는 요인"이라며 "도입이 예정된 스트레스 완충자본 역시 금융지주사들이 제시한 자사주 정책의 지속적 실현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통상 30년 이상으로 영구채 성격이 강해 영구채로 불린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산정 때 자본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자본 확충 수단으로 주로 활용된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