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신탁 정비 역대 최대 늘었지만… 수수료 규정 미비 '혼선' [부동산 아토즈]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30 18:08

수정 2024.01.31 15:24

지난해 기준 수주금액 2300억원
올해 표준계약서 시행땐 더 늘듯
전문성 논란 등은 해결할 과제로
신탁 정비 역대 최대 늘었지만… 수수료 규정 미비 '혼선' [부동산 아토즈]
지난해 신탁방식 정비사업 시장 규모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계 숙원이었던 표준계약서 제도가 지난해 말부터 도입돼 신탁방식 정비사업 단지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수수료 덤핑 경쟁과 전문성 부족 논란은 여전히 풀어야 될 과제다.

30일 신탁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신탁사들이 수주한 신탁방식 정비사업의 추산규모는 총 36건, 수주금액(신탁 보수액 기준)은 2300억원규모다. 금액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신탁방식 정비사업 제도는 지난 2016년 첫 도입됐다. 수주금액 기준으로는 2017년~2019년에는 1000억~1200억원대에 머물다가 2021년~2022년 2000억원대를 넘더니 지난해에는 2300억원으로 최고점을 찍었다. 건수도 2022년 30건에서 지난해에는 36건으로 늘었다.

신탁사별로 전략은 달랐다. 지난해 300억원의 실적을 기록한 상위권 A신탁사는 리스크 관리를 위해 지방 사업은 수주하지 않았다. 110억원을 수주한 상위권 B업체는 수주지역이 수도권에 다 몰려있다.

반면 신규 사업 수주 대부분이 지방인 후발 업체도 있다. 430억원의 실적을 기록한 C신탁사의 경우 수도권은 30억원, 지방은 400억원으로 지방 비중이 압도적이다. 지난해 2300억원 수주 금액 기준으로 지역별 비중은 서울 41%, 경기·인천 23%, 지방 36% 등이다.

신탁사 한 관계자는 "지난해 주요 신탁사들이 리스크 관리를 위해 양적 팽창보다는 선별 수주에 나선 게 두드러진다"고 말했다.

업계는 올해 신탁사업 정비사업 표준계약서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 시장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신탁사 관계자는 "표준계약서는 업계의 오랜 숙원 사항이었다"며 "신탁사와 조합이 공정하게 계약을 체결할 수 있게 되면서 신탁방식에 대한 조합원들의 불신이 풀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넘어아할 산도 만만치 않다. 우선 수수료 경쟁이다. 통상 매출액의 3~4% 가량이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방은 2~2.5%, 서울은 모 사업장의 경우 1.0%까지 수수료가 책정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표준계약서에도 수수료의 경우 가이드라인 없이 주민과 업체가 협의해 결정토록 했다.

사업장 관리와 전문성 부족 논란도 해결해야 한다. 현재 신탁방식 정비사업 현장은 누계 기준으로 전국서 약 190여곳에 이른다.


신규 수주 못지 않게 전문성을 갖고 기존 현장들의 사업을 진행하고 마무리 하는 게 핵심 과제인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관리를 목적으로 기획부서를 새롭게 신설한 신탁사도 있다.
업계 고위 임원은 "앞으로 전문성을 갖고 사업장을 어떻게 잘 관리하느냐가 최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jb@fnnews.com 이종배 연지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