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소비자물가 상승률 6개월만에 2%대로
"물가 둔화 흐름..부문별 온도차 커 체감 어려워"
농축산물 가격 , 중동 불안따른 국제 유가 상승 변수
"물가 둔화 흐름..부문별 온도차 커 체감 어려워"
농축산물 가격 , 중동 불안따른 국제 유가 상승 변수
[파이낸셜뉴스] 1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6개월 만에 2%대로 내려앉았다. 설을 앞두고 과일을 중심으로 농산물가격의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어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여전했다. 최근 중동 지역 불안으로 국제 유가가 오르고 있어 정부는 물가 관리의 경계를 늦추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2%대로 내려왔지만 농수산물 물가 15%대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월 소비자 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1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 올랐다. 지난해 7월 2.4% 기록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3.4%) 3%대로 올라섰고, 9월 3.7%, 10월 3.8%, 11월 3.3%, 12월 3.2% 등 5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다가 6개월 만에 2%로 복귀했다.
물가를 끌어내린 일등공신은 석유류였다. 1년 전보다 5.0% 하락하면서 전체 물가를 0.21%포인트 떨어뜨렸다.
전기요금 동결로 겨울철 난방비 급등을 막은 영향도 받았다.
품목별로 보면 전기·가스·수도는 지난해보다 5% 상승했다. 전기료(4.3%), 도시가스(5.6%), 지역난방비(12.1%) 등이 올랐다. 반면 경유(-11.9%), 등유(-8.7%) 등은 내렸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기료 동결과 개인 서비스 물가 상승 폭 둔화 등이 전체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설 연휴를 앞두고 장바구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농수산물 물가는 15.4% 올랐다.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15%대 상승률이다.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돼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신선식품지수는 14.4% 올랐다. 특히 사과 귤이 포함된 신선 과실은 28.5% 올라 2011년 1월(31.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선 채소 와 신선 어개도 각각 8.9%, 2.0% 올랐다.
공미숙 심의관은 "지난해 사과 배 등의 작황이 좋지 않았던 것과 귤 등에 대한 높은 수요가 맞물리면서 과실 물가가 수개월째 높게 유지되고 있다"며 "향후에도 기후 등 불확실한 요인들이 있다"고 분석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11.70(2020=100)으로 지난해보다 2.6% 올랐다. 지난 2021년 11월(2.4%)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5% 올랐다. 이 또한 2021년 12월 2.2% 상승한 이후 25개월 만에 최저치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 물가에 가까운 생활 물가 지수는 3.4% 상승했다. 작년 10월 4.5%를 시작으로 11월 3.9%, 12월 3.7%를 기록하며 둔화하는 흐름이다.
■농수산물 가격 안정·국제 유가 변수
정부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둔화 흐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도 경계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이날 주재한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지표상 경기회복 흐름이 꾸준하지만, 부문별 온도 차가 커 아직 ‘체감할 수 있는 회복’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며 “최근 중동지역 불안 등으로 국제유가가 다시 배럴당 80달러대로 오르는 등 2∼3월 물가가 다시 3% 내외로 상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획재정부도 농식품 물가는 당분간 강세가 지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사과·배·감의 생산량이 30% 내외로 크게 감소했는데, 공통적으로 감소한 건 유래가 없어 충격이 큰 상황”이라며 “설 기간 계약재배 물량 공급과 수입과일 할당관세 인하, 할인지원 확대 등으로 안정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새 과일이 나오기 시작해야 본격적으로 안정될 듯하고 상반기에는 가격을 계속 봐야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설 앞두고 과일값 안정을 위해 정부 계약재배 및 농협물량과 산지물량이 차질없이 공급되도록 관리하고, 비정형과 공급 등 시장 과일 유통물량을 확대하는 한편, 수입과일 반입 및 대체 선물세트 홍보를 통해 수요를 분산할 계획이다.
특히 설 직전주인 8일까지 정부 농축산물 할인지원 예산을 100억원 추가 배정하고 정부 할인율을 최대 40%까지 상향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사과·배 수급구조를 개선할 계획이다. 우선 올해 사과·배 계약재배 물량을 늘리고 내년 이후에도 계약재배물량 지속 확대를 위한 농가 직접지원 등 제도개선을 추진해 정부가 방출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물량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이창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