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전자처방전 1년...도입률 6% 지지부진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05 16:01

수정 2024.02.05 16:01

일본 의료보험증. 연합뉴스
일본 의료보험증.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도쿄=박소연 기자】 획기적인 비대면 진료 방안으로 주목받은 일본의 전자처방전 보급이 주춤한 모양새다. 시작한 지 1년이 됐지만 보급률은 낮다. 중복 투약을 막는 등 장점이 있지만 5000만원에 달하는 시스템 도입비 부담이 걸림돌이다.

5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운용 개시 약 1년이 지난 지난달 28일 기준으로 전자처방전 보급률은 6%에 그친다.

전자처방전은 의사가 환자에게 처방하는 약 정보를 전용 시스템에 등록하면, 약사가 그 정보를 보고 약을 짓는 방식이다.


환자는 약국에서 마이넘버 카드나 건강보험증을 제시하면 약을 받을 수 있다.

온라인으로 의사의 진단을 받아도 약을 받으려면 실제로 약국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지난해 1월 도입됐다.

하지만 후생 노동성에 의하면, 전국 약 20만6500개의 의료기관이나 약국중, 도입을 완료한 기관은 약 1만 2500개에 그친다.

보급이 더딘 이유로, 전용 시스템의 도입 비용이 크다는 점이 지적된다.

최신 시스템을 도입하는 비용은 큰 병원에서 약 600만엔, 진료소나 약국에서 55만엔 정도가 든다는 것이 중론이다.

일단 도입만 되면 환자 개개인의 약 처방 이력이 일원 관리돼 여러 의료기관과 약국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잘 안 먹는 약은 자동으로 경고가 표시되고, 쓸데없는 약 처방도 없어져 의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

한 의료기관 관계자는 요미우리신문에 "지금은 복약 정보를 약 수첩으로 확인하고 있지만 불편이 없다"며 "전자 시스템을 도입하는 장점을 느끼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환자는 정보 관리에 불안이 있어, 병의 정보를 공유받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후생노동성 담당자는 "사이버 공격을 받아도 정보가 누설되지 않는 안전성이 높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