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오세훈, '탄생응원 프로젝트' 앞세워 '저출생과의 전쟁'

최재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14 13:56

수정 2024.02.14 13:56

올해 '저출생 극복'에 1.8조 투입 예고한 서울시
새해 초부터 저출생 극복 정책 '봇물'
난자동결·산후조리비 지원, 경력보유여성 지원까지 대폭 확대
오세훈 서울시장(오른쪽)이 지난해 5월 3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서울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 발표를 앞두고 행사에 참석한 어린이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뉴스1
오세훈 서울시장(오른쪽)이 지난해 5월 3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서울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 발표를 앞두고 행사에 참석한 어린이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올해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밝힌 서울시가 '저출생과의 전쟁'을 본격화한다. 합계출산율이 0.6명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난자동결 및 산후조리비용 지원 폭을 대폭 확대하고, 산모의 사회활동 진입도 적극 지원한다.

서울시는 20~49세 여성의 난자동결 시술비로 최대 200만원을 지원하는 '난자동결시술비용 지원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3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한 해당 사업이 호응을 받으면서 올해 650명으로 지원 대상을 대폭 확대한다.

지난 9월부터 시행한 난자동결 시술비용사업은 30~40대의 경우 수치에 관계 없이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20대의 경우 난소기능검사(AMH) 기준수치 1.5ng/mL 이하인 경우에만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이로 인해 지원을 희망했음에도 받지 못한 20대 지원자가 적지 않았다.
이에 시는 20대의 AMH 기준수치를 3.5ng/mL로 완화하기로 했다. 또 난소기능 저하 유발 질환을 진단받은 이들은 수치와 관계 없이 난자동결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앞서 시는 출산 후 출생아 1인당 100만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 요건도 완화했다. 해당 사업은 지난해 9월 시행 이후 4개월 만에 1만5000명 이상이 신청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기존 서울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산모만 혜택을 받을 수 있었지만, 올해부터 이 같은 거주요건을 폐지했다. 혜택을 받지 못한 산모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된 민원을 적극 반영했다.

간접지원도 강화한다. 출산으로 인해 사회활동을 잠시 멈춘 경력보유여성들의 경제활동 복귀 지원을 강화한다. 이른바 '서울우먼업프로젝트'다. 올해에만 총 2610명의 경력보유여성의 재취업과 사회 복귀를 지원할 예정이다.

우먼업프로젝트는 구직지원금을 월 30만원씩 3개월 지원하고, 3개월 간 기업에서 일하며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인턴십 기회도 제공한다. 또 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기업에는 고용장려금 300만원도 지급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자신의 경력에 따라 구직활동에 나설 수 있도록 1대1 상담을 지원하는 '맞춤형 구직활동 서비스'도 함께 추진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서울우먼업프로젝트’는 출산과 육아로 어쩔 수 없이 직장을 떠났던 경력보유여성들이 자신의 경력과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라며 "여성들이 언제든지 사회로 복귀할 수 있다는 모범적인 사례로 추진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올해 1조7775억원을 투입해 저출생 위기 극복에 나서겠다고 공언했다.
지난해까지 추진했던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탄생응원 서울프로젝트'를 통해 출산과 육아, 돌봄 외에 일과 생활 균형 같은 근본적 문제까지 해결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jasonchoi@fnnews.com 최재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