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자사주 매입 등 일회성 주주환원 확대 지양해야"..'밸류업' 선배 日의 조언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18 15:34

수정 2024.02.18 17:32

16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34.96포인트(1.34%) 상승한 2648.76을 나타내고 있다. 뉴스1화상
16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34.96포인트(1.34%) 상승한 2648.76을 나타내고 있다. 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의 저평가 현상) 해소를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를 앞둔 가운데 한국의 벤치마킹 모델로 떠오른 일본에서 일시적인 자사주 매입 등 단기적인 주주환원 확대는 지양해야 한다는 투자자들의 지적이 나왔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일본 도쿄증권거래소는 지난해 4월부터 국내외 투자사 90여개사(국내 30%·해외 70%) 소속 투자자를 상대로 진행한 일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우수 사례와 주가 부양책 공시에 대한 의견을 인터뷰한 내용의 보고서를 이달 초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현재 기업가치와 관련해 자주 언급되는 주가순자산비율(PBR)과 자기자본이익률(ROE) 수치를 단편적으로 분석해 주가 부양책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투자자 관점에서 설득력 있는 분석과 평가를 위해서는 단순히 PBR 1배 또는 ROE 8%가 넘는지 확인하는 것보다는 △PBR·ROE 교차 분석 △일시적 시황에 따른 변동을 고려한 분석 △산업별 특성에 따른 비교 기업군 상대 평가 등 다면적 분석 결과를 고려해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자본비용(COE)이 투자자에 의한 기대수익률이라는 점을 고려해 한 가지 수식에만 의존하지 않고 투자자 의견을 수렴한 자본비용을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매출액, 당기순이익 등 손익계산서 분석에만 치우치지 않고 가치 창출과 성장을 위해 현금 등 보유 자산과 자본이 적절히 배분되는지를 분석해 대차대조표 중심의 개선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R&D) 및 설비자산 투자, 사업 포트폴리오 재구성 등 성장 투자와 주주수익률 제고를 위한 적절한 현금 배분 정책을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 강화와 자원의 적정 배분에 중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특히, 일본 도쿄증권거래소는 기업가치 개선계획을 수립할 때는 부채 조달을 통한 일시적인 자사주 매입 등 일회성 주주환원 확대도 지양할 것을 제언했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 자본 수익성이나 주가를 향상시키는 기술적인 대응책이 아니라 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투자나 사업 포트폴리오의 재조정 등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경영 자원의 적절한 분배를 고려한 체계적인 대응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등 주주환원 강화는 대차대조표가 가치 창출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황에 맞게 시행돼야 하며, 일회성 또는 일시적 대응으로 자사주 매입 및 배당 확대만 시행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한편, 도쿄증권거래소는 지난해 3월 PBR 1배 이하인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본수익성과 성장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침과 구체적인 이행 목표를 공개하도록 요구했다. 이후 지난해 5월 일본 상장기업이 수립한 자사주 매입 규모는 3조2596억엔(약 30조2500억원)으로 종전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런 가운데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는 '버블 경제' 시절이던 1990년 1월 이후 약 34년 만에 처음으로 3만8800선을 넘었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