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22일 개봉
[파이낸셜뉴스] 미국 LA행 비행기에서 일본어를 유창하게 하거나 여가시간에 운동을 할 때는 영락없이 세련된 도시 여성이 따로 없다. 하지만 신옷을 입고 덩덩덩덩 박자에 맞춰 재물인 돼지를 푹푹 찌르며 피를 뒤집어쓴 채 춤을 추는 장면에선 광기가 느껴진다. 배우 김고은이 연기한 MZ 무당 ‘화림’의 빛과 어둠처럼 대비되는 모습은 영화 ‘파묘’의 색깔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영화 ‘파묘’는 땅을 찾는 풍수사, 원혼을 달래는 무당, 예를 갖추는 장의사, 경문을 외는 무당까지, 과학과 미신의 경계에 서 있는 이들을 주인공으로 한다. 미국에 사는 한 부잣집에서 현지 대형병원에서도 어린 자식의 기이한 병을 고칠 수 없자, 무속의 힘을 빌리게 된다는 설정도 그렇다.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 상덕(최민식)과 장의사 영근(유해진), 무속인 화림과 봉길(김고은, 이도현)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로 개봉을 하루 앞둔 21일 기준 사전예매량 23만장을 돌파하며 흥행을 예고했다.
영화는 묘를 판 관에서 이상한 것이 나오기 전까지 음산하고 불길한 기운을 내뿜으며 관객의 오감을 집중시킨다. 결국엔 유령 잡는 할리우드 영화 ‘고스트 버스터즈’의 심각한 버전 같기도 한 이 영화는 네 배우들의 캐릭터가 돋보인다. 한 집안의 장손에게 내려오는 기이한 병의 원인은 일제강점기에 부를 축적한 조상과 연결되고 다시 일제 쇠말뚝설로 이어지는데, 실체가 드러날수록 긴장감이 떨어지는 게 아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색다른 소재에 배우들의 새로운 면모를 볼수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극중 주요 장면의 제작 비하인드를 살펴봤다.
■ 전국 팔도를 누빈 로케이션과 1200평 오픈 세트로 구현한 묘 터
이 영화에서 가장 오싹한 장면 중 하나로 절대 사람이 묻힐 수 없는 악지에 자리한 기이한 묘 터를 꼽을 수 있다. 딸의 결혼식을 앞두고 큰돈을 벌 기회가 생긴 ‘상덕’은 이번 일을 반기다가 정작 묘 터를 보고 “잘못 건드리면 큰일 난다”며 제안을 거절한다.
장재현 감독은 가을이라는 계절이 주는 축축하고 스산한 분위기를 담기 위해 전국을 탐색했다. 극중 묘가 위치한 산은 하나의 공간으로 그려지지만 실제 로케이션은 그렇지 않았다. 제작진은 극중 보국사에서 묘 입구로 가는 첩첩산중의 뱀길, 굳게 잠긴 산의 출입구, 산을 올라가는 비탈길, 주목이 있는 산까지의 여정을 사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서울부터 경기도 파주, 강원도 고성, 춘천, 원주, 충청도 충주, 당진, 전라도 무주, 경상도 부산까지 전국 각지의 다른 공간을 나누어 촬영한 후 한 공간인 듯 연결시켰다.
장재현 감독은 또한 묘 터를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으로 생각했다. 기묘한 분위기의 묘를 찾아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오히려 비범한 분위기를 풍기는 장소의 지극히 평범한 묘에 주목했다. ‘이 무덤은 왜 여기 있지?’라는 궁금증을 유발하는 산꼭대기의 평범한 곳을 묫자리로 설정하고, 평범함 속에서 나오는 불편함을 표현해 내며 디테일을 발전시켰다. 제작진은 약 1200평에 달하는 세트장 부지에 2m 넘게 흙을 쌓아 올리고 50그루의 나무를 추가로 옮겨 심는 등 노력을 기울여 실제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듯한 음산한 기운의 묘 터를 구현했다.
■ CG를 최소화한 실사 촬영과 4대의 카메라로 완성한 ‘대살굿’ 장면
의뢰인 조상의 묘를 파헤치는 현장에서 펼치는 화림의 대살굿은 이 영화 최대 볼거리다. 김고은은 무당 역을 제안받고 "진짜 귀신을 보면 어쩌나 걱정이 많았는데 감독님이 (교회) 집사님이어서 안심이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고은이 열연을 펼친 대살굿 장면은 CG는 최소화하고 실사 촬영을 원칙으로 했다. 초점이 살짝 맞지 않고 투박하
■ 흙의 색감까지 설정한 미술, 관의 삐걱임까지 활용한 음악
미술팀과 음악팀 역시 사실감 극대화에 주력했다. 서성경 미술감독은 “‘파묘’는 빛이 있는 밝은 세상과 빛이 닿지 않는 어두운 세상으로 양분하는 세계관을 보여준다”며 “강렬한 햇빛이 드는 미국 LA에는 생기 있는 야자수를, 음지의 묫자리에는 잎사귀가 붉게 변한 죽은 소나무와 검은빛을 띠는 흙 등을 디테일하게 세팅했다”고 전했다.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극대화하는 음악도 제몫을 톡톡히 한다. 장재현 감독은 “관이 삐걱거리는 소리를 음악처럼 들리게 만드는 등 소품이나 기이한 소리를 활용하여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증폭했다”고 전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