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유식 그리너리 대표
韓 1호 자발적 탄소크레딧 플랫폼
유럽보다 20년 뒤처진 시장 출범
확보 필요성 느낀 기업 다수 참여
韓 1호 자발적 탄소크레딧 플랫폼
유럽보다 20년 뒤처진 시장 출범
확보 필요성 느낀 기업 다수 참여
국내 자발적 탄소 크레딧 거래 분야의 핵심 플레이어로 꼽히는 황유식 그리너리 대표(46). 그는 국내에 자발적 탄소 크레딧 거래시장이란 개념 자체가 생소했던 지난 2021년 이 분야에 뛰어들었다. 지난달 국내에서는 황 대표 등 이 분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자발적 탄소시장 연합회가 출범했다. 유럽에 비하면 20년 늦은 셈이다. 그래서 속도감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17일 황 대표는 "'탄소제국주의'라고 불릴 정도로, 유럽·미국의 기후대응규제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내 대기업은 물론이고, 중소기업들의 경우 상당수 기후 대응 규제에 속수무책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업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담당자들이 과도한 업무를 하소연 할 정도로 최근 미국·유럽발 ESG 규제망은 더욱 촘촘하고 강해지고 있다. 황 대표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RE 100(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 사용), ESG공시 의무화, EU배터리법, 탄소 공개 프로젝트(CDP)대응, 스코프(Scope)3 배출량 산정, 넷제로 전략수립 등 열거하기도 어렵다"고 했다. 그는 "2030년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면 지금도 급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수 년 내 탄소저감 목표치에 대한 압박이 일순간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의 탄소배출권 의무시장과 더불어 민간 주도의 자발적 탄소 크레딧 거래시장이 함께 성장해 가야하는 이유라는 것이다.
황 대표는 자발적 거래 시장 개념이 생소했던 지난 2021년 기후 대응 스타트업 그리너리를 설립했다. 그리너리는 '국내 1호'로 플랫폼 기반의 자발적 탄소 크레딧 인증센터, 거래 플랫폼 기업이다.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탄소감축 사업 기획, 컨설팅도 하고 있다. 파트너스인베스트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포스텍 홀딩스 등이 주요 투자자들이다. 국내에서 탄소저감 인증센터로는 대한상공회의소와 그리너리, 단 두 곳 뿐이다. 탄소저감이 인정되는 부분에 대해 탄소크레딧을 발급, 글로벌 규제 대응이 필요한 곳에 연결해주고 있다. 전 세계 자발적 탄소 크레딧 발행 규모는 2018년 1억6600만t에서 2021년 3억6600만t으로 연평균 30%이상 성장했다. 거래 규모도 2018년 9900만t에서 2021년 2억3900만t으로 연평균 34.1% 증가했다. 최근 그리너리는 신한은행, 기아, 농림축산식품부와 자발적 탄소 크레딧 확보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기업들도 자발적 탄소 크레딧 확보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불과 3년 전까지만 해도 그는 각종 평가에서 1위를 달리던 석유화학 분야 애널리스트였다. 국내 기후 대응 분야 1호 애널리스트이기도 했다. "기후대응이 장기투자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고, 그 길로 창업의 길로 들어섰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참가를 통해, 기후 대응을 위해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점을 절감했다고 한다. 황 대표는 "한국도 마냥 기후대응 분야의 후발주자에 머물 순 없는 법"이라며 "글로벌 탄소시장을 이끄는 미국, 유럽 등 시장 참여자들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행동력을 높여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