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규 뱅크샐러드 최고기술책임자(CTO)
구글·아마존 엔지니어 경험 바탕
뱅크샐러드, KPI 대신 OKR 채택
문제점·해결법·예상변화 직접 찾고
사용자 중심 사고방식 최우선으로
구글·아마존 엔지니어 경험 바탕
뱅크샐러드, KPI 대신 OKR 채택
문제점·해결법·예상변화 직접 찾고
사용자 중심 사고방식 최우선으로
김문규 뱅크샐러드 최고기술책임자(CTO·사진)는 22일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자주 볼 수 있어야 테크 조직이 사용자 중심의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뱅크샐러드는 김 CTO의 네 번째 회사다. 2003년 카이스트 전산학부를 졸업한 김 CTO는 당시 미라지웍스라는 보안솔루션 스타트업에 창립멤버로 합류했다. 직원이 5명이었던 회사는 7년 만에 100명 규모까지 성장했다. 김 CTO의 다음 행선지는 미국이었다. 김 CTO는 당시를 "생산성·혁신성 측면에서 항상 압도적인 실리콘밸리의 비밀이 궁금했다"고 회상했다. 김 CTO는 약 2년간 아마존에서 경험을 쌓고 7년 동안 구글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구글 안드로이드 OS의 테스팅 자동화 인프라와 오픈소스 자동화 테스팅 솔루션 개발 등을 주도했다.
김 CTO가 꼽은 실리콘밸리의 성공 배경에는 새로운 평가제도가 적용된 테크 조직이 있다. 개발자 개인의 성과를 '측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성과가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을뿐더러 개발 자체가 지금 당장 회사에 돈을 벌어다 줄 수도 없다. 구글 등 많은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예상치'를 기반으로 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핵심성과지표)가 아닌 중장기적 결과에 집중하는 '목표' 중심의 OKR을 채택한 이유다.
김 CTO는 "IT기업들이 개척하는 시장은 기존에 없던 것이기 때문에 트래픽이 1년 사이에도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한다"며 "사용자가 어떤 불편함을 느끼는지 명확히 설정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팀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고민하는 OKR이 KPI보다 포텐션을 발휘하기에 더 적합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7년간 구글에서 일하며 수많은 OKR 성공경험을 가진 김 CTO는 뱅크샐러드에도 이를 적용했다. 사용자가 느끼는 문제가 무엇인지 목표 설정을 명확히 하고, 그 문제를 풀면 지표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을지 팀과 구성원이 스스로 설정하게끔 한다. 이후 객관적으로 뱅크샐러드가 실행할 수 있는 작전이 무엇인지 매 분기가 시작되기 전 KR(키 리졸트)을 설정한다.
특히 그가 뱅크샐러드에서 가장 중시하는 건 '측정'이다. 한 사용자가 뱅크샐러드에 접속해 어떤 행동을 하고, 그 행동이 얼마나 예상 매출을 일으키는지를 시간 단위로 측정한다. 김 CTO는 "테크 조직이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얼마나 자주 볼 수 있느냐에 따라서 길을 잘못 들었을 때 빠르게 경로를 바꿀 수 있다"며 "실시간 측정을 강조하는 문화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김 CTO는 뱅크샐러드의 테크 조직에 '지식공유' 문화도 심었다. 동료가 만든 걸 최대한 활용해야 자원이 낭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김 CTO는 "테크 부서는 모든 회의를 전부 기록하고 각 팀에서 생산된 모든 결과물을 노션 등을 이용해 문서화해 공유한다"고 설명했다. '사용자 중심성'도 김 CTO가 심은 뱅크샐러드의 고유문화다. 김 CTO는 "테크 개발자들도 기획에 많이 참여하고, 특히 사용자 인터뷰에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권장한다"고 밝혔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