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대내외 복합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 '인구', '기후'가 국내 기업 경영을 위협하는 3대 주요 리스크로 꼽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국내 소재 글로벌 기업 임원급 155명으로 '기업들이 생각하는 핵심 리스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조사에는 정치·경제·사회·기술·환경 등 5대 분야 총 25개 세부 리스크가 포함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21.5%는 폭염·폭설·폭우 등 '극한기후로 인한 피해'를 핵심 리스크로 꼽았다. 이어 '성장잠재력 둔화(14.8%)',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13.5%)' 등이 뒤를 이었다.
리스크 요인별 대응 시급성을 조사한 결과 △인구구조 변화 △성장잠재력 둔화 △노동력 부족 △거시경제 불확실성 확대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 등 순으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대적으로 기술 분야에서는 리스크의 시급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업의 준비가 적극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25개 리스크 요인에 대해 △성장잠재력 둔화 △원자재 수급난 △정보 유출·오남용 △거시경제 불확실성 확대 △노동력 부족 순으로 준비하고 대응 중이라고 답했다.
기업 10곳 중 7곳(70%)는 "경제·사회·정치 리스크는 중앙정부 등 공공부문이, 환경 리스크는 국제기구가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술 분야는 개별 기업 차원 대응이 가능하지만, 그 외의 분야는 정부나 국제기구 차원에서 정책 추진이 문제해결에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경협 관계자는 "복합위기 시대 효과적 리스크 대응을 위해 민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내외적으로 수많은 요인들이 복잡하게 연관돼 리스크가 발생하는 만큼, 다양한 주체들 간 역할을 분담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경협 관계자는 "민간 기업이 공적 리스크 영역에도 적극적으로 대응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내 저출산 대책에 대한 세제혜택, 공급망 재편을 위한 리쇼어링(국내복귀) 지원 등 적절한 인센티브 시스템의 구축도 필요하다"라며 "기업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리스크 요인들에 대하 효과적 모니터링과 대응을 위해 최고리스크책임자(CRO)와 같은 전담 조직 신설도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