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최근 수도권에서 대량 발생한 대벌레를 곰팡이로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대벌레가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녹강균에 의해 90% 이상 폐사하는 것을 확인하고 친환경 방제 후속 연구를 추진 중이라고 9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녹강균의 학술명은 '메타리지움 파스마토데아에'로, 대벌레목의 학명인 파스마토데아에서 이름을 따왔다. 국내 미기록 종(種)인 이 균은 곤충의 표피에 침입해 체내에 증식하며 폐사를 일으키는 특이 작용을 한다.
대벌레는 성충의 길이가 약 10㎝ 정도로 몸체가 대나무처럼 가늘고 갈색, 녹색 등 여러 색깔을 띤다. 원래는 깊은 숲속에서 이따금 볼 수 있지만, 2020년 이후 수도권에서 떼로 발생하면서 수목을 갉아 먹어 '해충'으로 여겨진다.
대벌레의 대발생에는 지구 온난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관은 대발생 곤충의 개체수를 친환경적으로 관리할 방법을 찾기 위해 2022년부터 강원대 정종국 교수팀과 연구를 수행 중인 가운데 여름철 높은 온·습도, 강수량이 녹강균 활성을 증가시켜 대벌레 폐사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생태계의 중요한 조절 인자로서 녹강균의 가능성을 연구한 이번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프론티어스 인 마이크로바이올로지'(Frontiers in Microbiology)에 이달 게재될 예정이다.아울러 녹강균 균주를 특허 출원해 친환경 방제 실용화 연구도 추진한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우리나라에서 대발생하는 곤충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자연 친화적으로 개체수를 조절할 방안을 지속해서 연구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