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원전·재생·수소 등 무탄소에너지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해외진출 지원, 전력시장 제도 선진화, 탄소포집저장(CCS) 산업 육성 등을 중점 추진한다.
산업부는 안덕근 장관 주재로 22일 제31차 에너지위원회를 개최하고 △재생에너지 해외진출 지원 방안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향 △CCS 산업육성 전략에 대해 관계부처 및 에너지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했다.
안덕근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우리나라 에너지 시스템을 무탄소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원전·재생에너지·수소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원의 공급 역량 확대를 중점 추진해나갈 계획"이라면서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화력발전 시대에 만들어진 전력시장 제도를 재생 확대 등 미래의 발전믹스에 맞게 선진화하는 한편 중요한 탄소중립 수단인 CCS 기술을 조기상용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근 4년간 우리 기업들은 총 143억달러 규모의 해외 재생에너지 사업을 수주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제28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8)에서 123개국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 3배 확대 서약에 서명하는 등 전 세계가 탄소중립의 주요 수단으로 재생에너지를 주목함에 따라 갈수록 글로벌 재생에너지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민관 합동 '재생에너지 해외진출 협의회'를 구성하고, 프로젝트별로는 민간·공공 개발사 및 발전사, 제조기업, 수출금융기관 등이 참여하는 '팀 코리아' 컨소시엄을 구성해 역량을 총집결할 전망이다.
또 재생에너지 해외진출에 특화된 '종합지원 정보플랫폼'을 구축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인프라개발공사(KIND) 등 다수 기관에 분산된 정보를 수요자 중심으로 모아 해외진출 정보 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원전·재생·수소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의 공급 확대를 전력시장이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전력시장 제도를 개선한다. 우선 실시간 수급 변동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전력시장을 추가로 개설하고, 가격 입찰제로의 단계적 전환을 토대로 전력 시스템 전반의 유연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아울러 그동안 지속된 전국 단일 가격 체계를 개편하고 분산에너지법에 따른 특례제도를 함께 활용하여 전력자원의 입지 최적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발전설비의 진입단계부터 시장 경쟁과 계약이 이뤄지는 용량·계약시장을 개설해 중장기 전력수급 목표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전력시장이 기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