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국내 최대 양자팹, KAIST에 들어선다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7 10:03

수정 2024.05.27 13:51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 주관기관 선정
올해부터 8년간 국비 234억, 대전 지방비 200억 투입
양자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신산업 육성 인프라 구축
KAIST 대전 본원에 건립될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조감도. KAIST 제공
KAIST 대전 본원에 건립될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조감도. KAIST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이 들어선다.

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올해부터 2031년까지 8년간 국비 234억원과 대전시 지방비 200억원도 함께 투자된다. 이를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공정환경을 보장하는 동시에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운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규 양자팹은 미래융합소자동과 공동연구기관인 나노종합기술원 사이의 1500㎡ 면적 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양자팹 건축과 신규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5차년도부터는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을 전면 개방해 운영하게 된다.


우선 내년부터는 대전 본원 내 미래융합소자동에 보유 중인 클린룸과 다수의 기존 장비들을 활용해 1차 운영에 돌입한다.

KAIST는 △양자 과학기술 분야의 핵심 교수진들의 연구 역량 △미래융합소자동의 클린룸 운영 경험 △중앙분석센터의 장비 예약 및 사용자 지원 경험 △양자대학원의 교육 역량 및 국내외 네트워크 등을 발판 삼아 전문성·안전성·공공성을 갖춘 개방형 양자팹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번 사업은 나노종합기술원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공동기관으로 참여하며, SK텔레콤과 대전테크노파크가 위탁기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체제다.

대규모 팹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온 KAIST와 나노종합기술원이 공동으로 양자팹을 운영해 공정의 전문성과 사업성을 확보한다.
또 양자기술 선도 기관인 표준과학연구원과 함께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핵심 공정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SK텔레콤과는 양자 광집적회로 모듈 개발을 추진하며, 양자 기업을 특화해 지원 하고 있는 대전테크노파크는 중소기업의 양자팹 활용 및 창업 활동을 돕는 역할을 맡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기술 분야로, 경제는 물론 안보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파급 효과가 매우 큰 분야"라며, "이번 사업을 기점으로 긴밀한 산·학·연·관 연계를 통해 양자과학기술 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핵심 기반이 마련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