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KAIST, 국내 최대 규모 첨단 양자팹 설립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7 18:28

수정 2024.05.27 18:28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이 들어선다.

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올해부터 2031년까지 8년간 국비 234억원과 대전시 지방비 200억원도 함께 투자된다. 이를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공정환경을 보장하는 동시에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운영 체계를 마련키로 했다.

신규 양자팹은 미래융합소자동과 공동연구기관인 나노종합기술원 사이의 1500㎡ 면적 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양자팹 건축과 신규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5차년도부터는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을 전면 개방해 운영하게 된다.


우선 내년부터는 대전 본원 내 미래융합소자동에 보유 중인 클린룸과 다수의 기존 장비들을 활용해 1차 운영에 돌입한다. KAIST는 △양자 과학기술 분야의 핵심 교수진들의 연구 역량 △미래융합소자동의 클린룸 운영 경험 △중앙분석센터의 장비 예약 및 사용자 지원 경험 △양자대학원의 교육 역량 및 국내외 네트워크 등을 발판 삼아 전문성·안전성·공공성을 갖춘 개방형 양자팹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번 사업은 나노종합기술원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공동기관으로 참여하며, SK텔레콤과 대전테크노파크가 위탁기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체제다.

대규모 팹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온 KAIST와 나노종합기술원이 공동으로 양자팹을 운영해 공정의 전문성과 사업성을 확보한다.
또 양자기술 선도 기관인 표준과학연구원과 함께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핵심 공정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