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만의 신규건설, SMR 포함
에너지 정책 쉬 바뀌어선 안 돼
에너지 정책 쉬 바뀌어선 안 돼
오는 2038년까지 신규 원전 4기 건설을 공식화한 것은 의미가 크다. 윤석열 정부의 완전한 친원전 전환과 고효율 원전의 가치를 확인했다는 점에서다. 원전 건설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기술이 고도화할수록 더 많은 전기가 필요한 전력 다소비 세상이기 때문이다. 온실가스 배출이 없고, 생산비용이 낮은 원전을 짓지 않고는 전력을 충당하기 어렵다.
미래 전력수요는 상식을 뛰어넘을 정도로 폭발적이다. 인공지능(AI) 혁명발 AI 반도체와 AI 데이터센터 등에는 막대한 전기가 필요하다고 한다. 내연차를 대체할 전기차 시대도 다가온다.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등 주요국들이 원전으로 빠르게 유턴하는 것도 미래 AI·반도체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것이다.
용인·평택 등 경기 남부에 2046년까지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된다. 8년 앞인 2038년에 총 128.9GW 전기가 필요하다는 추산인데, 지난해 최대 수요보다 30.6GW 많은 양이다. 원전(1.4GW) 20여개가 더 필요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클러스터가 완성되는 2046년에 사용되는 산업용 전력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국가 에너지 대계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번복되어선 안 된다. 비용낭비만 해도 막대하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7년 신규 원전 6기를 백지화하는 탈원전을 밀어붙였다. 길지 않은 5년간 원전산업 생태계는 빠르게 붕괴했다. 값비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을 늘렸고, 태양광·풍력발전의 급속 과잉 추진으로 국토와 에너지 효율성은 훼손됐다.
한국전력은 한 해 8조원에 육박하는 신재생보조금을 써야 했고, 원전보다 3~5배 많은 비싼 원가를 지불했다. 결국 남은 것은 국민혈세와 같은 43조원의 누적 적자다. 중장기 국가 송전망 투자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내륙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마저 지연되고 있다.
미래에는 원전과 공존할 수밖에 없다. 지금 착수한다 해도 원전 1기 가동까지 13년 이상 걸리는 대공사임을 감안하면 원전 3기 건설은 머나먼 여정이다. 하루라도 서둘러야 한다. 걱정은 야당의 반대다. 더는 원전을 정쟁거리로 삼아선 안 된다. 더불어 국회는 국가기간전력망확충 특별법과 원전 확대에 불가피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법 등 폐기된 법안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
우리 스스로 원전을 활성화해야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을 잇는 제2의 원전 수출도 이뤄낼 수 있다. 세계 최고 기술을 갖춘 SMR의 상용화와 첫 수출도 함께 성사시켜야 할 과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