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OPEC+, 내년까지 감산 연장에 합의

윤재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6.03 11:21

수정 2024.06.03 13:47

2일(현지시간) 사우디아리바아 리야드에서 열린 OPEC+ 회의에 참석한 석유장관들이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AFP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사우디아리바아 리야드에서 열린 OPEC+ 회의에 참석한 석유장관들이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AFP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주요 산유국들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원유 감산을 내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산유국들인 ‘OPEC+’는 2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현재 자발적으로 산유국들이 실시하고 있는 하루 220만배럴 감산 연장에 합의했으며 이는 중동의 긴장에도 오르지 않고 있는 유가를 받쳐주기 위한 의도로 풀이되고 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은 보도했다.

감산은 지난해 12월에 합의된 것으로 이달말에 만료될 예정이었다.

가자지구 전쟁과 홍해에서 후티 반군의 선박 공격에도 국제유가는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원유 가격은 지난 4월초 5개월 중 최고치까지 오른 이후 약 10% 떨어졌다.

북해산 브렌트유는 지난달 배럴당 81~83달러에 거래됐으며 가자 전쟁 발생 이전인 2022년 9월 이후 배럴당 100달러를 넘지 못하고 있다.

OPEC+ 소속이 아닌 미국에서 생산되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도 78달러대에 거래되고 있다.

OPEC+를 이끌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는 고유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우디 경제가 화석 연료 수출에 의존하는 것을 줄이기 위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야심찬 계획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해야 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을 진행 중인 러시아는 경제 성장과 안정을 위해서도 유가가 높아야 한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재정 안정을 위해서는 유가가 배럴당 81달러에 거래돼야 한다.

이번 합의에서 사우디아리비아와 러시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이라크 등 8개 핵심 산유국은 10월부터 자발적인 감산량을 점차 줄인다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유가 상승이 억제되고 있는 것은 미국의 산유량이 크게 증가한데다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의 수요가 저조하기 때문이다.

애널리스트들은 OPEC+의 감산 연장 효과 앞으로 수개월내 나타날 것이라면서도 이들이 노리는 유가 반등은 결국 수요에 달려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연료 소비가 많은 여름 성수기가 지나면 수요를 예측하기가 힘들어진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서 선진국의 수요 감소로 올해 하루 평균 석유 수요 전망치를 110만배럴로 14만배럴을 낮췄다.

이번 합의는 중국의 불투명한 경기 전망과 미국과 캐나다를 비롯한 OPEC+ 소속이 아닌 국가들의 산유량 급증 속에 OPEC+ 산유국들의 불안을 반영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분석, 보도했다.

에너지애스펙츠의 암리타 센은 FT와 가진 인터뷰에서와 가진 인터뷰에서 "OPEC+ 산유국들은 안정을 원하고 있다"고 있다고 설명했다.

IEA는 올해 하루 공급량이 58만배럴 증가에 그치면서 공급 부족 발생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OPEC+의 감산 연장은 공급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전망이다.


이번 OPEC+의 감산에 미국 언론들은 11월 대선까지 고유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특히 물가상승(인플레이션)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