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한-阿 정상회의, 다자외교·경협 모델로 키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6.05 18:12

수정 2024.06.05 18:12

아프리카 48개국과 첫 회의 폐막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 최고 성과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48개국이 핵심광물 공급 협의체를 발족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5일 아프리카 정상들이 모인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에서 양측간 파트너십을 강조하며 "교역과 투자를 획기적으로 늘려 한국과 아프리카의 경제적 거리를 좁혀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대(對)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ODA)를 100억달러로, 수출금융을 140억달러 규모로 늘린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흘 일정의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5일 폐막했다. 아프리카 25개국 원수를 포함해 48개국 정상이 동시에 방한했는데, 건국 이래 처음이다.
높아진 국격을 확인할 수 있다. 정부의 노력에 격려를 보낸다.

이번 다자 정상회의의 가장 큰 의미를 찾자면 마지막 블루오션과 같은 14억 인구의 아프리카로 경제 영토를 넓힌다는 점이다. 3년 전 아프리카대륙 자유무역지대(AfCFTA)를 출범한 아프리카는 세계 최대 단일시장으로 성장을 꾀하고 있다. 미국의 중국산 배터리 소재 제한, 주요국의 보호주의 강화로 세계 광물 자원의 3분의 1을 보유한 아프리카의 전략적 가치는 크다.

배터리 원료인 흑연의 세계최대 광산이 모잠비크에 있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전세계 코발트의 70% 이상을 생산한다. 짐바브웨, 부룬디, 탄자니아 등에는 상당량의 니켈이 매장돼 있다. 중국, 미국, 일본 등이 아프리카와 정례적으로 정상회의를 열어 협력을 강화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의 국력과 위상으로 봐선 늦은 것이다.

우리에게 안정적인 핵심 광물 공급망 구축은 국가 경제의 사활이 걸린 이슈다. 우리는 중국, 호주, 인도네시아 등 특정국가에서 니켈, 리튬, 코발트 등의 희귀 금속과 핵심 광물을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특정 국가에 편중돼 늘 공급망 리스크를 안고 있다. 더욱이 이들 국가는 해외 반출 규정을 까다롭게 해 자국 이익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아프리카와 전략적 협력은 매우 긴요하다.

이번 정상회의를 당장의 성과로 평가할 수는 없다. 현재 우리의 교역·투자에서 아프리카 비중은 2%도 안 된다. 이보다 아프리카와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봐야 할 것이다.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에서 아프리카의 영향력을 뒤늦게 확인한 것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아프리카와 실효성 있는 협정 체결로 국익을 확보해야 한다. 자유무역협정(FTA)격인 경제동반자협정(EPA) 등 상호 호혜적 경제협력을 구체화하는 것부터다. 중국, 일본 등이 상당 부분 아프리카 개발을 선점한 상황에서 우리는 인프라 분야 기술력과 투자 방안 등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대규모 프로젝트의 건설 역량과 스마트 첨단기술 적용, 교육훈련 지원, K콘텐츠와 인력 교류 등 우리가 잘 하는 부분이 많다. 현지 광산의 신규 투자와 개발·제련 등 열악한 기술·공정을 우리 기업이 투자해 실익을 높일 수 있다. 여러 분야에서 ODA를 확대해 아프리카 국가의 친 한국 인식을 강화하는 것도 요구된다. 이는 한반도 비핵화, 국제대회 유치, 글로벌 리더십 구축 등에서 우리에게 우호적 역할을 할 것이다.


아프리카는 전쟁과 분단을 딛고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을 경이롭게 보고 있다. 이런 경험과 노하우를 배우고 싶어 한다.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정례화하고 더 많은 주요국 정상들이 참석하도록 내실을 키워야 할 것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