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인터뷰] "나는 죽어도 'AI 까치'는 계속… 필멸자의 복수 같아 통쾌"

조은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6.10 18:17

수정 2024.06.10 19:08

[인터뷰] '만화계 입문 50주년' 이현세 세종대 석좌교수
"AI로 불멸성 얻은 이현세 세계관
미래세대와 소통·공명하는 셈"
국제지식재산보호 컨퍼런스서
'AI의 도전, 나의 도전' 특별강연
만화가 이현세 세종대 석좌교수가 서울 강남구 작업실에서 자신의 대표작인 '공포의 외인구단' 주인공 까치를 배경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만화가 이현세 세종대 석좌교수가 서울 강남구 작업실에서 자신의 대표작인 '공포의 외인구단' 주인공 까치를 배경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나는 언젠가 죽지만, 인공지능(AI)으로 재탄생한 '까치'와 '마동탁'은 불멸의 존재로, 내가 꿈꿨던 세계관 속에서 미래 세대와 소통하고 공명하며 살아갈 것입니다."

올해 만화계 입문 50주년을 맞이한 거장, 이현세 세종대 석좌교수. 이 교수는 현재 AI 스타트업인 재담미디어와 함께 5000권이 넘는 자신의 만화 속 캐릭터를 AI로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명 '이현세 AI 프로젝트'다. 올 연말이면 이 교수의 대표작 '공포의 외인구단' 속 까치와 마동탁, 엄지 등이 AI로 재탄생한다. AI가 그리는 2024년 또는 2025년 버전의 '공포의 외인구단'도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칠순을 앞둔 만화거장의 새로운 도전에 웹툰·만화계는 물론이고 국내외 지식재산(IP)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AI, 거대 산업자본 대응할 무기"

이 교수는 오는 18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파이낸셜뉴스와 특허청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제14회 국제지식재산보호 컨퍼런스의 특별연사로 무대에 오른다. 그는 'AI의 도전, 나의 도전'을 주제로 AI 활용과 창작자의 관점에서 본 저작권 문제 등을 심도 있게 강연할 예정이다.


'AI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연 어디까지 AI를 창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물음을 안고 10일 서울 강남구 소재 이 교수의 작업실에서 인터뷰를 했다.

이 교수는 AI 프로젝트를 한마디로 "가슴 떨리는 도전"이라고 말했다. 자신의 사후에도 이현세 세계관을 가지고 누군가의 감독 아래 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면 "그것은 마치 유한한 생명에 대한 통쾌한 복수 같기도 하다"고 했다.

특히 그는 AI가 미국, 일본 등 글로벌 애니메이션 산업계의 막대한 자본력에 대응할 수 있는 '무기'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월트디즈니 사후 약 60년이 지났음에도 디즈니가 창조한 캐릭터들이 오늘날 전 세계를 활보할 수 있는 것은 거대자본과 체계적 시스템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이 교수는 "한국이 전 세계 만화 변방에서 웹툰 종주국으로 부상했던 것에는 IT기술, 웹기술의 발달이 있었던 것처럼 향후 AI 활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I 작업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더 이상 거스를 수도, 막을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AI처럼 365일, 24시간 안 자고 일할 수 있다면 그런 가성비와 경제성을 어느 누가 마다하겠느냐"면서 "이미 전 세계 수많은 엔지니어와 작업자들이 AI 시대로 진격하는 만큼 거기서 살아남을 준비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역설했다.

지난달 22일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이현세의 길: K-웹툰 전설의 시작 특별전'에서 한 관람객이 그린 그림을 AI가 캐릭터로 바꿨다. 뉴시스
지난달 22일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이현세의 길: K-웹툰 전설의 시작 특별전'에서 한 관람객이 그린 그림을 AI가 캐릭터로 바꿨다. 뉴시스

■"AI 저작권, 작가의 신념 문제"

현재 이 교수와 AI스타트업 재담미디어는 50년간의 이현세 만화 5000권을 AI에 학습시키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가령 "1990년대 이현세 화풍으로, ○○ 스토리로, ○○ 캐릭터를 그리라"는 지시를 AI가 그대로 구현해내는 방식이다. 이 교수는 "무서울 정도로 (AI의) 학습 속도가 빠르다"며 혀를 내둘렀다.

이 교수는 작업 초반 100% 수작업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AI를 어디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선 비교적 폭넓게 허용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작가의 철학, 장인의 기운, 감성과 철학, 이런 것들은 아직은 인간의 몫으로 남아있다"면서도 "어디까지 AI에 작업을 맡길 것이냐는 결국엔 작가의 신념 문제"라고 말했다. "작가에 따라서는 AI에 전부 다 맡겨도 내 작품이라고 할 수 있고, 어느 부분은 절대로 AI에 넘기지 않겠다고 할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부연했다. "영화에서 어떤 장면을 컴퓨터그래픽(CG)으로 만들어냈다고 해도 배우의 연기를 인정하지 않거나 감독의 연출력을 인정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라는 것이다. 이 교수는 "AI를 어디까지 활용하느냐의 문제에 대해선 폭넓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사후 이현세 만화 캐릭터들이 그의 의도와 달리 AI를 통해 제멋대로 창작될 가능성에 대해 묻자 뜻밖의 답이 돌아왔다.
이 교수는 "그러면 또 어떠냐. 내가 그렇게까지 고귀한 사람은 아니다"라며 웃음을 지었다. 이미 그의 만화 '황금의 꽃'(1995년작)에선 사이버 세계에서 인격체가 만들어진 캐릭터가 등장한다고 했다.
이 교수는 "이미 판도라 상자의 뚜껑이 열렸다고 봐야 한다"면서 "그걸 덮는 것은 이제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