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선업 올해만 14명 사망…고용부, 집중 관리 나선다

김현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6.19 15:44

수정 2024.06.19 15:44

안전보건공단과 부울경 등 조선소 밀집지역 집중 감독
조선업 올해만 14명 사망…고용부, 집중 관리 나선다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최근 조선업계에서 급증하고 있는 중대재해를 막기 위해 집중 관리에 나선다.

고용노동부는 19일 조선업 사업장이 있는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 부서장 및 안전보건공단 관계자들과 현재 시행 중인 집중 관리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는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조선업계에서 발생한 중대재해는 지난 14일 기준 깔림, 화재·폭발, 추락 등 10건으로 현재까지 근로자 14명이 숨졌다. 이에 고용부는 지난달 17일 조선업 사고 다발 경보발령을 내린 바 있다.

고용부는 최근 조선업의 불황이 회복되며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 등 산재 취약계층이 다수 유입돼 중대재해 발생 위험도 그만큼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중대재해가 계속되자 4월22일 8개 주요 조선사와 '안전문화 확산 협약'을 체결하고 5월부터는 조선업 사업장이 밀집해있는 지역의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 안전보건공단과 함께 안전관리 활동을 집중 전개 중이다.
5월21일과 23일에는 각각 부산·울산·경남 소재 12개사, 광주·전라 지역 11개사의 중소조선사 사업주를 대상으로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집중 안전관리 기간에는 고용부와 안전보건공단이 합동으로 조선업 취약사업장 전담 패트롤팀을 운영하며 고위험 작업을 집중 점검한다. 또 부산·울산·통영지청 등을 중심으로 조선업 협력사 대상 기획 감독도 실시한다.

외국인 근로자 대상으로는 각국 언어로 번역된 조선업 안전수칙 교육용 안내문, 동영상, 픽토그램 안전표지판과 체험형 안전교육 등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게 확산한다.

아울러 경상남도 등 조선소 밀집 지자체와 조선업 재해예방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조선업종 협·단체와 연계해 현장의 재해 예방을 지원하는 사업도 신설한다.


앞으로 고용부는 조선업 중대재해 예방대책 추진상황을 지방고용노동관서 및 안전보건공단 등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할 계획이다.

한편 조선업이 폭염 취약업종에 해당하는 만큼 '폭염 대비 근로자 건강보호 대책'에 따른 관리도 진행한다.


최태호 산업안전보건본부장 직무대리는 "조선업 현장에서 근로자가 안타까운 생명을 잃는 사례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며 "다양한 산재예방 활동이 실제 중대재해 감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