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엔비디아, 시총 1위 기록했으나…브랜드 인지도는 낮은 편"

뉴시스

입력 2024.06.24 10:56

수정 2024.06.24 10:56

인터브랜드, 브랜드 순위 조사 진행 1위 애플, 2위 MS, 3위 아마존, 4위 구글 시총 1위 올랐던 엔비디아, 100위 밖
[샌타클래라=AP/뉴시스] AI 반도체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가 빅테크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제치고 시가총액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지만, 아직 브랜드 인지도는 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지난해 5월 미 캘리포니아 샌타클래라에 있는 엔비디아 본사 모습. 2024.02.15.
[샌타클래라=AP/뉴시스] AI 반도체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가 빅테크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제치고 시가총액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지만, 아직 브랜드 인지도는 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지난해 5월 미 캘리포니아 샌타클래라에 있는 엔비디아 본사 모습. 2024.02.15.
[서울=뉴시스] 박광온 기자 =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가 빅테크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제치고 시가총액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지만, 아직 브랜드 인지도는 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현지시각)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세계 최대 규모의 브랜드 컨설팅 인터브랜드의 브랜드 순위 'TOP 100' 조사에서 상위 100위 안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엔비디아와 시총 정상 경쟁을 벌이고 있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 순위 조사에서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아마존이고, 4위는 구글, 5위는 삼성전자였다.


앞서 지난 18일 엔비디아는 전장 대비 3.6% 올라 시가총액이 3조3400억 달러(약 4643조6020억원)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이달 초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돌파하며 상승세를 이어가던 엔비디아가 시총 1·2위였던 MS와 애플을 끌어내리기까지 한 것이다.

이처럼 엔비디아가 급성장을 했음에도 브랜드 순위에서 100위 안에 들지 못한 데 대해 CNBC는 "엔비디아는 빠르게 성장했지만 그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소비자와의 접촉이 부족했다"고 짚었다.

1991년에 설립된 엔비디아는 주로 게이머들이 3D 타이틀을 실행할 수 있도록 칩을 판매하는 하드웨어 회사로 초반 몇십 년을 보냈다. 또한 암호화폐 채굴 칩과 클라우드 게임 구독 서비스에도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B2B(기업 대 기업) 거래를 기반으로 성장해 오던 엔비디아는 광고 등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힘쓰지 않았다. 이에 따라 고사양 게임을 구동할 고성능 컴퓨터를 찾는 이들에게 주로 알려진 회사였다.

그러다 최근 2년 동안 월가에서 엔비디아의 기술을 AI 폭발의 원동력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급등했다고 CNBC는 전했다.

이번 브랜드 순위 평가를 진행한 인터브랜드의 경제 이사 그레고리 실버먼은 "최근 글로벌 무대로 진출한 엔비디아는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시간이나 자원이 없었다"며 "엔비디아는 시총이 높지만, 약한 브랜드 인지도로 가치가 제한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100위권 밖이지만 최근 엔비디아의 인지도는 빠르게 좋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인터브랜드는 지난 1년 동안 엔비디아의 브랜드 인지도는 4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다음 순위 조사에서는 순위가 더 큰 폭으로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브랜드 가치 또한 수직 상승 중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칸타르가 매년 발표하는 '칸타르 브랜드Z 톱 100'에서 엔비디아는 이전 조사보다 18계단 뛰어올라 6위에 위치했다.


엔비디아의 브랜드 가치는 1년 만에 178% 상승한 약 2020억 달러(약 280조7194억원)로 평가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light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