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고용 없는 성장'하는 韓..."10억 생산 위한 인원, 5년 새 1.1명↓"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6.25 17:46

수정 2024.06.25 17:46

2020년 고용표 발표한 한국은행
취업계수 1.1명↓·취업유발계수 2.0명↓
취업자수는 2015년보다 39만명 감소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0년 고용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가운데 상용직 비중이 60%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0년 고용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가운데 상용직 비중이 60%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자동화·기계화로 노동생산성이 향상되면서 10억원 생산에 필요한 고용자의 수가 5년 새 1명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고용표 작성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산업 전체 평균 취업계수는 5.4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6.5명)에 비해 1.1명 줄어든 것이다. 취업계수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10억원을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를 뜻한다. 경제 성장에 발맞춰 취업자가 얼마나 늘어났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노동생산성이 높을수록 취업계수는 하락한다.


특히 서비스업 취업계수가 10.2명에서 7.7명으로 크게 줄었다. 서비스 산출액이 1722조원에서 2246조원으로 증가했음에도 취업자 수가 1764만명에서 1737만명으로 감소한 영향이다. 이는 상품 생산에 필요한 취업자 수가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특정 상품에 대한 최종 수요가 10억원이 발생할 때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를 의미하는 취업유발계수도 같은 기간 2.0명 줄어든 9.7명으로 집계됐다. 산업별로 보면 전기·가스·수도·폐기물업(4.1명→4.7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취업유발계수가 줄어들었다. 공산품(7.3명→6.3명)은 섬유·가죽제품과 목재, 인쇄를 중심으로 감소했고 도소매 및 상품중개 서비스와 사업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15.0명→11.5명)도 하락했다.

최종수요 항목별 취업유발계수를 보면 2020년 기준 소비가 11.7명으로 가장 높았고, 투자(9.1명), 수출(6.6명)이 그 뒤를 이었다. 2015년과 비교할 때 소비(14.6→11.7명)에 의한 취업유발 효과가 가장 크게 줄었다.

2020년 취업자 수는 2444만명으로 2015년(2483만명) 대비 39만명 감소했다.
고용표상 취업자란 상용 및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및 무급 가족 종사자를 모두 포괄한다.

취업 형태별로는 상용직을 중심으로 임금근로자(73.6%→74.4%)의 비중이 늘었다.
성별 비중 남성이 61.0%, 여성은 39.0%로 2015년과 동일했다.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제공.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