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인터넷/SNS

김범수 첫 소환조사‥.카카오 '사법리스크' 재점화

조윤주 기자,

임수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7.09 12:04

수정 2024.07.09 12:04

김범수 카카오 전 의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 SM엔터테인먼트 인수 주가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범수 카카오 전 의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 SM엔터테인먼트 인수 주가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검찰이 칼끝이 카카오 창업주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을 향하면서 카카오가 술렁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금융감독원이 김 위원장을 검찰에 송치한 지 약 8개월 만의 첫 소환 조사다. '전면 쇄신'을 목표로 경영 전면에 나선 김 위원장의 사법리스크가 재점화되면서 향후 카카오의 쇄신작업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등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2부(장대규 부장검사)는 9일 오전 카카오 창업자인 김 위원장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소환 조사 중이다. 검찰은 지난해 2월 SM 인수 과정에서 카카오가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 매수 방해를 위해 SM 주가에 대해 시세조종을 했다고 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지시 또는 승인이 있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같은 혐의로 기소된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의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창업주이자 최대 주주인 김 위원장까지 검찰 기소 가능성이 커지자 카카오는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검찰이 SM 시세조정 의혹 뿐만 아니라 카카오 엔터테인먼트의 드라마 제작사 고가 인수 의혹, 카카오 모빌리티 콜 몰아주기 의혹 등 카카오 관련된 수사를 확대하고 있어 불안감은 더욱 크다. 김 위원장을 둘러싼 사법리스크가 장기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카카오가 각종 의혹으로 수사 대상에 오르자 지난해 1년 8개월만에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 "창업에 준하는 수준으로 거듭나겠다"며 경영쇄신위원회를 출범시키고 그 위원장을 맡은 김 위원장은 대대적인 쇄신 작업을 진두지휘했다.

카카오 관계사의 준법·윤리경영을 감시할 외부기구 ‘준법과 신뢰 위원회’(준신위)를 띄워 초대 위원장으로 김소영 전 대법관을 위촉해 내부 통제를 강화하는 한편, 그룹 컨트롤타워인 'CA협의체'로 계열사의 신규 투자 집행 및 유치, 지분 매각 프로세스도 강화했다.

쇄신 작업과 함께 카카오의 경쟁력 확보에도 속도를 냈다. 카카오는 상대적으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술과 서비스 역량을 결집 중이다. 지난 6월 초 AI 전담조직 '카나나'를 신설하고 카카오가 보유한 서비스 강점을 더한 AI 모델 개발에 속도를 붙인 상태다. 글로벌 성장 동력 찾기에도 강한 의지를 보인 바 있다.
지난 4월 카카오는 2억1220만달러어치(한화 2930억원) 해외 EB(교환사채)를 발행해 이 중 1930억원은 플랫폼과 AI, 콘텐츠 강화를 위한 M&A와 합작법인(JV) 설립 등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이같은 카카오의 행보는 김 위원장의 사법리스크와 맞물려 더뎌질 수 밖에 없을 것이란 것이 업계 분석이다.
김 위원장 등 주요 경영진에 대한 추가 소환이나 기소 등 사법 절차가 본격화되면 해외 사업에도 제동이 걸릴 수 밖에 없고, 김 위원장이 핵심인 쇄신 작업도 표류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yjjoe@fnnews.com 조윤주 임수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