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주시 인구 안심 지역 아냐…현상 진단과 전략 필요

강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7.09 12:29

수정 2024.07.09 12:29

전주 인구 65만명 선 깨지며 빨간불
고부가가치 산업 유치와 청년 유입책 필요
전북 전주 인구구조 변화. 전주시 제공
전북 전주 인구구조 변화. 전주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전주=강인 기자】 전북 전주지역 인구 감소가 심상치 않아 대책이 요구된다.

그동안 전주는 지방소멸 예상 지역에서 벗어나는 등 인구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터라 더 관심이 쏠리고 있다.

9일 전주시에 따르면 최근 전주시정연구원은 ‘인구감소시대에 대응하는 전주시 인구정책 방향 및 과제’를 주제로 한 정책브리프를 발간했다.

브리프에서는 2021년 이후 전주에서 인구절벽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구의 자연감소, 순유출 증가, 출산과 혼인 감소, 고령화의 심화, 청년인구의 수도권 유출, 결혼 기피 경향 증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이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청년인구 유입 촉진 방안 마련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인구정책 수립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 방안 설정 △인구정책 전담부서 개편·확충 등을 포함한 인구정책 추진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안이 제시됐다.

전주 인구는 2021년 65만명 선을 유지했다. 이후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여 2023년 64만2727명으로 감소했다. 인구증가율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23년 -1.35%까지 줄었다.

또 2020년을 기점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초과했으며, 전입·전출자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22년 기점으로 순유출로 전환됐다.

전주 인구구조는 1992년 기준으로 10-19세 유소년인구와 20-24세의 청년인구 비중이 큰 피라미드 형태를 보였지만 2023년 기준으로 40-60대 인구의 비중이 큰 다이아몬드 형태로 변화했다.

합계출산율은 2023년 0.69명을 기록해 전국(0.72명), 전북특별자치도(0.78명)에 비해 그 수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령화지수는 2023년 기준 143.6명으로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인구 문제가 국가적 현안으로 대두되면서 정부는 출산・육아 중심 정책에서 생애주기별 삶의 질 증진을 통한 계층·세대 간 통합과 연대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기조를 전환했다. 전북특별자치도도 이를 반영해 인구정책 초점을 삶의 질 개선으로 전환했다.

전주시도 2021년 5월 ‘전주시 인구정책 기본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설계된 인구정책 시행계획에 따라 출산·육아·청년·고령인구 정책과 사업을 시행했다.

이에 전주시정연구원은 이번 정책브리프를 통해 인구감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주시 인구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했다.
주민 삶의 질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괄하는 종합적 인구정책 계획이 수립돼야 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의 유치와 육성 등을 통한 청년 인구 유입 촉진 방안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사회 돌봄 생태계 구축, 양육지원 다양화, 청년 취업·창업 활성화와 주거 안정, 신혼부부 지원, 중장년층의 직업전환·창업지원, 노년층 사회경제적 참여 확대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 방안 필요성을 제안했다.


박미자 전주시정연구원장은 “정부가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총력적인 비상대응 체제를 가동한 현 시점에서 전주시도 더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인구문제는 출산과 인구이동 뿐만 아니라 일자리, 주거, 교육, 환경 등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교차 되는 종합문제라는 점에서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kang1231@fnnews.com 강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