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정책 헛바퀴에 고삐 풀린 가계대출…銀가계대출 증가율 '빨간불'

박소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7.22 07:00

수정 2024.07.22 07:00

5대 시중은행 7월 가계부채 3.6조원 증가
가계부채 증가율은 작년 말보다 2.86%↑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 초과
가을 이사철 앞두고 부동산 거래 수요 지속될 듯
가계부채 추가 관리 대책 필요
지난 15일 서울 용산구 남산에서 서울 도심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 15일 서울 용산구 남산에서 서울 도심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표>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잔액 추이
시기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잔액
2024년 4월 말 698조30억원
2024년 5월 말 703조2308억원
2024년 6월 말 708조5723억원
2024년 7월 18일 기준 712조1841억원
(자료: 5대 시중은행 합산)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5대 시중은행 합산 2.86
KB국민은행 3.96
하나은행 3.51
신한은행 3.08
(자료: 5대 시중은행(지난해 말 대비 지난 18일까지))


[파이낸셜뉴스]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7월에도 3조6000억원 넘게 불어나는 등 은행들의 가계대출 증가율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올해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넘어섰고, 일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목표인 연간 명목 GDP 성장률을 뒤쫓고 있다.

은행권은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부동산 거래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대출금리 인상 만으로 가계부채 증가폭을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정책자금 대출 기준을 좁히는 등 실효성 있는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대책이 추가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대비 지난 18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합산 가계대출 증가율은 2.86%로 한국은행의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2.5%)를 넘어섰다.
금융당국은 올해 초부터 주요 시중은행에 GDP 성장률 이내 가계대출 증가 관리를 당부했는데, 이미 이를 뛰어넘은 것이다. KB국민·하나·신한 등 일부 시중은행의 지난해 말 대비 지난 18일까지 가계부채 증가율은 각각 3.96%, 3.51%, 3.08%로 1·4분기 명목 GDP 성장률(3.0%)을 이미 초과했고, 연간 명목GDP 성장률(4.7%)도 빠르게 쫓아가고 있다.

하지만 이달에만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3조6118억원 늘어나면서 은행들이 연초에 자체 목표로 세운 가계대출 규모는 물론 올해 GDP 성장률을 뛰어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압박에 대출금리를 높여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나섰지만 금융채 하락으로 대출금리 인상 효과가 희석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8일부터 고정형 주담대·전세대출 금리를 0.2%p 인상했지만 22일부터 고정형 주담대 금리를 0.09%p 다시 낮출 예정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달에 매일 700억원씩, 많으면 2000~3000억원까지 대출이 실행되고 있다"면서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있어 최소 8월까지는 부동산 거래 수요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부동산 매수 심리가 불붙은 상황에서 정부가 스트레스 DSR 2단계 적용 시기를 돌연 9월로 두달 연기하는 등 '정책 엇박자'를 낸데다 가계부채 추이와 부동산 시장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겠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반기에 신생아특례대출 소득기준이 완화되면 가계대출은 더 늘어날 수 밖에 없다"면서 "정부가 핸들을 양쪽에서 잡고 좌회전하면서 동시에 우회전을 하니 자꾸 바퀴가 헛도는 것인데 가계대출 관리 실효성을 높이려면 정책자금대출 대상자를 조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