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력 소비 막대한 AI데이터센터… SK이노·E&S 합쳐 솔루션 개발할 것"

김동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7.21 18:06

수정 2024.07.21 18:06

최태원 SK 회장, 합병 배경 설명
"빅테크, 에너지 기술에 관심 많아
효과적인 데이터센터 구축이 숙제"
AI 인프라 확충 중요성도 강조
"기반 뒤처지면 다른 곳에 종속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지난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7회 대한상의 제주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지난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7회 대한상의 제주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파이낸셜뉴스 서귀포(제주)=김동호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 배경으로 '인공지능(AI)'을 꼽았다.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에너지 문제를 풀 수 있는 솔루션 개발에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AI 데이터센터 전력 솔루션 선도

최 회장은 지난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7회 대한상의 제주포럼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AI 데이터센터에 엄청난 에너지가 들어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지난 17일 이사회를 각각 열어 양사 합병안을 의결했다. 합병이 성사되면 매출 88조원, 자산 100조원의 초대형 에너지 기업이 탄생한다.

AI 시장 확대로 수요가 급증하는 AI 데이터센터는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릴 정도로 막대한 전력을 소비한다.


최 회장은 전날 열린 'AI 경영 토크쇼'에서 "그간 만났던 많은 빅테크들은 단지 반도체 단품을 파는 이야기보다 에너지 소비가 큰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SK 에너지 기술에 관심이 많았다"며 "우리가 AI 데이터센터를 모두 만들 수는 없지만, SK의 기술과 소재를 활용해 효과적인 데이터센터를 만드는 게 숙제"라고 밝힌 바 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도 "한쪽은 배터리 등을 지니고 있고, 또 다른 한쪽은 수소나 전기에 관련한 사업을 갖고 있기 때문에 (AI 에너지 관련) 솔루션을 많이 만들 수 있다"며 "향후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전기를 솔루션화한다면 그것도 상당히 사업이 될 거라고 생각했다"고 합병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최 회장은 이를 통해 배터리 시장의 일시적 수요정체(캐즘)를 돌파할 수 있다는 확신도 드러냈다. 그는 "배터리에 캐즘이 생겨서 원래 계획만큼 (사업이) 안 돌아갈 수 있는 확률이 생겼지만, 배터리 성장은 계속될 것이고 저희도 여기서 관둘 수 없다"며 "단지 지금 주춤하는 상황이지만, 계속 잘할 것이니 그때까지 잘 돌아가야 하는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AI 인프라 깔고 워리어 키워야"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을 추진한 요인 중 하나인 'AI 인프라 확충'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AI 인프라스트럭처(기반)에서 뒤처지면 빅테크들이 우리나라를 선택하지 않고, 그렇게 되면 우리는 공동화돼 다른 곳에 종속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종속화를 피하려면 AI 데이터센터부터 AI에 관계된 인프라스트럭처를 상당히 많이 만들어야 한다"며 "꼭 엔지니어가 아니더라도 AI 시대에 AI를 이해하고 관련 사업을 하려는 'AI 워리어(전사)'들이 제대로 일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깔아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일본과의 협업을 거론하기도 했다. 일본과 무조건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공통된 문제를 효과적으로 풀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찾는 시도를 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AI 데이터센터만으로는 안 되고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며 "대한민국 데이터를 다 모아도 사이즈가 작은 만큼 일본을 포함한 다른 나라와 협력해 데이터 규모를 더 크게 만들고 공동으로 이용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경제계 숙원인 상속세 개편과 관련해서도 '디테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속세 최고세율이 50%이고 할증이 붙으면 60%인데, 40%로 내린다고 하면 40%는 정답이고 50%는 (정답이) 아니라는 것인가. 그럴 리는 없다"며 "기업이 (상속세 납부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갖고 '이렇게 하겠습니다'라고 하면 그걸 받아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우리나라 법은 '당신이 받는 상속금액의 몇 퍼센트를 당장 내세요' 혹은 '5년간 잘라서 내세요' 정도밖에 없다"며 "룸(여지)을 많이 열어줄수록 기업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주식이나 생산제품 납부 등으로 유연성을 훨씬 더 제공한다면 충분히 풀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hoya0222@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