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원외 당대표' 한동훈, 거야협상·여권통합에 최우선 방점

정경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7.23 18:24

수정 2024.07.23 18:24

명실상부 잠룡,대권가도 청신호
'확대명''조국 연임' 난제도 산적
거야 입법독주 맞설 협상력 주목
친윤-친한 깊어진 갈등 풀고
전대 난타전 상처 수습도 과제
金여사 청문회 방어 관전포인트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고양=정경수 서지윤 기자】 윤석열 정부 집권 3년차를 맞아 23일 집권 여당 새 대표에 선출된 한동훈 신임 당 대표는 위기에 빠진 국민의힘호(號)의 조타수를 맡아 4월 총선 참패로 귀결된 민심 이반을 회복해야 하는 중차대한 숙제를 떠안게 됐다. 동시에 여권내 유력한 차기 주자로 떠오르는 한편 윤 정부의 남은 임기 동안 성공적인 국정 성과를 내기 위해 대통령실과 정부, 여당이 국정 파트너로서 찰떡호흡을 맞춰야 하는 과제도 부여받았다.

당장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이 강행 추진하고 있는 채상병 특검법과 방송4법, 김건희 여사 특검법, 윤 대통령 탄핵 청문회 등 정부여당을 겨냥한 거대야권의 입법 독주를 온 몸으로 막아야 한다.

또 대통령실과의 갈등 문제로 생긴 당정간 불협화음, 이번 전대를 통해 깊어질 대로 깊어진 당내 제 세력간 갈등의 골도 무리없이 풀어내야 한다. 다만 채상병 특검법 제3자 추천안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일부 현안을 놓고 대통령실과 갈등이 재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앞으로 한 대표의 리더십 발휘에 따라 국정운영 '삼두마차'인 당·정·대통령실이 제대로 굴러갈 지가 결정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거야 입법독주 막고, 전대 후유증 털어내야

우선 한 대표에게는 거대야당의 입법 독주를 막고, 더불어민주당의 새 대표로 유력한 이재명 대표와 주요 쟁점 현안을 놓고 한판 승부를 겨뤄야 하는 부담이 있다. 소수 여당의 대표로서 입법 권력을 틀어쥔 거대 야당과 맞서야 하는 정치적 한계를 어떻게 한 대표가 극복할 지가 관건이다.

한 대표로선 일단 대화와 타협을 통한 생산적 정치 구현에 방점을 찍겠지만, 이재명 대표의 연임이 유력한 데다 조국혁신당의 조국 대표까지 연임된 상황에서 거대 야당의 견고한 단일대오와 맞서야 하는 쉽지않은 숙제를 떠안은 상태이다.

또 채상병 특검법 처리 해법을 놓고 대통령실과 갈등이 재현될 수 있는 게 문제다. 특검 제3자 추천안을 제안한 한 대표는 이를 당론으로 반대한 여당과의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 대표로선 해법으로 제시한 제3자 추천안을 뒤집을 수 없는 만큼 앞으로 대통령실과 어떤 방향을 취할 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거대 야당이 오는 26일 추진하는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청문회를 어떻게 방어할 지도 관전포인트다. 전대 과정에서 '김 여사 사과 패싱 논란'이 핫이슈로 떠오른 만큼 한 대표로선 당내 여론을 설득해 이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 추경호 원내대표를 비롯해 이철규 산자위원장 등 당내 친윤계와의 관계설정도 숙젯거리다. 전대과정에서 대척점에 섰지만, 당내 주류인 만큼 신임 당 대표로서 '통합과 화합의 리더십' 발휘를 위해선 친윤계와의 묵은 감정 해소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일단 한 대표는 친윤계와의 봉합은 물론 당권 경쟁자였던 나경원·원희룡·윤상현 후보와 묵은 감정을 털어내고 '원팀 국민의힘'을 강조하면서 거대 야당의 입법 독주에 맞서자는 데 공을 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친윤계의 지원사격을 받으며 난타전을 벌인 원 후보와 패스트트랙 공소 취소 부탁 논란으로 각을 세운 나 후보와의 화합이 우선시 된다. 특히 선거과정에서 친윤·친한계간 네거티브 공방전이 극에 달하며 분당 우려까지 나온 만큼 계파간 화합을 이뤄내는 내 과제로 남았다.

■차기 잠룡으로 급부상

지난 4.10 총선 참패론에 휩싸였던 한 신임 대표가 이번 전대에서 과반을 획득하면서 유력한 차기 잠룡 지위를 획득했다는 평이다. 이로썬 차기 대통령선거에서 한 대표의 위상이 한껏 높아지면서 한 대표의 대권가도에는 청신호가 켜졌다는 관측이다. 다만 당헌·당규상 당권 및 대권 분리 규정에 따라 한 신임 대표는 차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선 늦어도 내년 9월 대표직을 내려놔야 한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한 대표가 취임 일성으로 통합을 내세우고 대통령실과의 원팀 정신을 강조할 것"이라며 "한 신임 대표는 당 대표 후 대권을 목표로 할텐데, 친윤계도 본인편으로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대립각을 세우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대통령실과의 관계설정 방향성에 대해선 예측이 엇갈렸다.
한 대표가 집권여당의 대표인 만큼 쉽사리 대통령실과 거리를 두긴 어렵다는 주장과 대통령실과 거리를 두고 철저하게 민심에 호흡하는 행보를 보일 것이란 시각이 엇갈렸다. 이 평론가는 "(한 대표와 대통령실은)초반에 대립각을 세우지 않고 대선이 다가왔을 때 대립각을 세우는 행보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통령실의 여론에 대한 민감성과 반응성이 굉장히 떨어지기 때문에, 한 신임 대표가 함께할 수 없다"고 밝혔다.

theknight@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