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中 먹잇감 된 반도체 핵심기술…삼성·SK "내부 유출 단속"

장민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7.28 17:43

수정 2024.07.28 17:43

사진=뉴스1
사진=뉴스1

반도체 업계, 기술유출 피해 사례
내용
SK하이닉스 중국 국적 직원, 반도체 불량기술 낮추는 핵심기술 화웨이로 유출
전 직원 美 마이크로 임원 이직에 전직금지 가처분 신청
삼성전자 전 임원, 반도체 공장 설계도면 빼돌려 中에 ‘복제공장‘ 설립 시도
자회사 세메스 전 연구원, 반도체 세정장비 기술 中 유출
엔지니어, 재택 근무 중 모니터에 기밀 자료 띄워 사진 촬영하다 적발

[파이낸셜뉴스] 최첨단 공정 기술을 겨냥한 해외의 잇단 탈취 시도와 내부 정보 유출에 위기감을 느낀 반도체 업계가 사내 보안관리 강화에 고삐를 죄고 있다. 보안 이슈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통합 전담팀을 구축하거나 임직원들의 보안 의식 제고를 목적으로 한 캠페인 전개 등 내부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민감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기업 경쟁력에 큰 피해가 불가피한 만큼 보안 체계의 빈틈을 최대한 메우려는 행보로 분석된다.

'기술 유출 막아라' 보안전담팀 신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해 초부터 사내 보안분석팀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개별 팀 단위로 흩어진 보안 관리 기능을 일원화해 보안 업무를 전담하는 팀을 꾸렸다.
최근 잇따른 내부 기술 유출 피해를 막기 위해 보안 체계를 재정비했다. 보안분석팀은 과거 내부 정보 유출 시도에 대한 경로별 분석을 통해 보안 취약점을 점검한 후 보완 방안 등을 마련하는 것이 주요 업무로 알려졌다.

해킹, 피싱사이트 등 사이버 보안 위협이 갈수록 지능화·고도화되자 적극 대응하려는 의도도 반영됐다. 실제 최근 SK하이닉스는 자사 공식 홈페이지에 사칭 사이트 사기 주의 공지를 올렸다. SK하이닉스 홈페이지를 유사하게 모방한 피싱사이트에서 투자 파트너 모집을 위한 암호화폐 입금 유도, 전환사채 판매 명분으로 입금 유도 등 사기 피해가 잇따르자 회사 차원의 공식 대응에 나선 것이다.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은 이달부터 매월 첫째 주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그다음 날)을 'DS 보안의날'로 정해 운영하고 있다. 사이버 보안 관리에 대한 임직원들의 경각심을 일깨우려는 취지다. 임직원 스스로 보안 점검을 하고, 부서장 주관 보안 교육을 실시한다. PC 화면보호기 등을 통해 정보 보안을 당부하는 메시지도 띄우고 있다. 민감한 사내 정보가 외부로 흘러가거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되는 사례가 이어지자 보안 의식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해석된다.

솜방망이 처벌, 기술유출 부추겨
국내 반도체 업계가 보안 강화에 총력을 쏟는 건 기밀 유출로 기업 경쟁력이 흔들리고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 기술의 해외 유출을 시도하다 적발된 23건 중 65%인 15건이 반도체 분야에서 발생했다.

특히 국가 차원의 패권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반도체 산업을 노린 기술 탈취 시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전현직 임직원, 자회사·협력사 등을 통해 핵심 기술이 해외로 새는 보안 범죄에 지속적으로 시달리고 있다.

실제 SK하이닉스에서 과거 근무했던 중국 국적의 직원은 최근 반도체 불량률을 낮추는 핵심 기술을 중국 화웨이로 빼돌린 혐의로 구속됐다. 중국 현지 법인 기업간 거래 고객상담팀으로 일하던 이 직원은 화웨이 이직이 결정된 2022년 퇴사 직전 '핵심 반도체 기술 구현을 위한 공정 문제 해결책'을 담은 A4 용지 3000장 분량의 내부 자료를 출력해 중국으로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삼성전자 전 임원도 핵심 영업비밀인 반도체 공장 설계도면을 빼돌려 중국에 동일한 '복제공장' 설립을 시도하다 적발됐다.
삼성전자의 장비 자회사 세메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초임계 반도체 세정장비 핵심 기술을 중국으로 넘긴 전직 연구원들도 구속돼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또 재택근무를 하며 외국 경쟁사 이직을 준비하던 삼성전자 엔지니어는 국가 핵심기술이 포함된 중요 자료를 모니터 화면에 띄운 뒤 다수의 사진을 촬영·보관하다 발각됐다.


업계 관계자는 "미·중 분쟁 여파로 반도체가 경제 안보의 축으로 부각되면서 반도체 기술력이 국가 경쟁력 핵심으로 떠올랐다"며 "기술 유출이 적발돼도 집행유예나 벌금형 등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는 만큼 국가 차원에서 '일벌백계' 수준으로 처벌 수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