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한 만남으로 갈등해소 기대
국정개혁 앞세워 국면전환해야
국정개혁 앞세워 국면전환해야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당 대표가 7월 3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공개로 만나면서 양측 간 갈등 봉합 기대감이 크다. 국민의힘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 이후 한 대표를 포함한 국민의힘 전현직 지도부를 용산 대통령실로 초청해 만찬을 한 지 6일 만이다. 이후 윤 대통령과 한 대표 간 단독 비공개 회담 일정은 한참 미뤄질 것으로 예상됐다. 세간에 제기되는 윤·한 갈등의 골이 깊다는 이유에서였다.
당일 양측 간 나눈 이슈의 수위 여부를 떠나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만남 자체가 국정운영에 큰 돌파구가 되길 바란다.
그럼에도 한가하게 거대야당만 탓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한 나라의 살림을 책임지는 대통령실과 집권여당 간판을 내걸고 있는 국민의힘이 할 소리가 아니란 말이다. 위기일수록 기회로 만드는 것이 대통령실과 집권여당이 갖춰야 할 실력이다. 그 첫 단추는 대통령실과 집권여당 간 위상 정립과 협력적 구도를 복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권을 쥔 한 대표 체제는 새로운 당 지도부 구성을 놓고 표류 중이다. 친윤(親윤석열)계와 친한(親한동훈)계 간 당내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어서다.
친윤계 정점식 정책위 의장 유임을 둘러싼 갈등이 대표적이다. 심지어 원외의 '반한 연대'마저 본격적인 세 결집을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소속 광역자치단체장(시도지사)들이 '국민의힘 시·도지사 협의회'를 발족해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려는 시도가 있다. 한동훈 지도부가 출범한 지 이틀 만에 협의회가 발족됐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새 당 대표의 리더십이 견제받고 새로운 지도체제가 순항하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앞선다. 국정마비가 이어질수록 일선 공무원들의 의욕도 꺾일 게 뻔하다. 이미 일각에선 중앙부처 현업 공무원들이 책임회피 차원에서 일손을 놨다는 비관적 이야기마저 나오는 실정이다. 대통령실과 집권여당 간 갈등 해소는 당정대 관계복원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대통령실과 집권여당에 남은 선택지는 오직 하나뿐이다. 정면 돌파다. 풍랑에 흔들리는 대한민국호를 강하게 끌고 가는 국정운영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핵심 이슈를 틀어쥐고 국면 전환을 시도하는 길밖에 없다. 윤석열 정권 초 야심차게 내세웠던 노동·교육·연금 개혁은 국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바 있다. 사심 없이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정권의 명운을 걸겠다는데 이를 나무랄 국민은 없다. 이를 위해 당정 간 만남을 정례화할 것을 제안한다. 당정 갈등에서 협력의 복원으로 전환해야 국정 이슈를 강한 그립으로 끌고 갈 수 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