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남 서울시립은평병원 중독치료전문의(전 국립법무병원장)이 효과적인 마약관리센터 운영을 위한 방침으로 이같이 말했다.
서울시는 내년 6월에 개소할 '마약관리센터'를 예방교육과 약물치료, 사회재활이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시설로 만든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의 사회재활 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한편, 민간재활센터와의 연계도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9일 서울 중구 서울특별시의회의원회관에서 '서울시 마약류 관리 정책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은 마약관리센터 등으로 구체화되는 서울시의 마약류 관리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였다.
조 전문의는 이날 워크숍의 발제에서 "마약류 중독 치료의 목적은 단순히 단약에 그치는 것이 아닌, 마약류 중독으로 인해 단절된 사회적 네트워크를 회복해 중독환자가 삶을 보람되게 살게 하는 것이다"며 "이를 위해 마약관리센터는 '익명의약물중독자들(N.A.)'와 '답톡(DAPCOC)' 등 민간재활시설과 연계해 중독환자들이 사회적 네트워크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약관리센터는 장기간 입원 치료를 중심으로 마약류 중독 치료를 하는 민간병원과 달리 단기간 입원 치료와 장기간 통원 치료를 병행하며 마약류 중독 치료를 할 생각이다. 일본 다르크의 외래 치료 기관인 아파리를 모델로 삼는 것이다. 조 전문의는 "보통의 민간병원은 3개월, 혹은 그 이상 입원 치료를 하지만, 병원이 거주시설이 돼 '병원 중독'을 일으켜선 안 된다는 것이 기본 방향이다"며 "외래 치료를 하되 환자 스스로가 의지를 두고 치료를 받을 수 있게 집중적으로 치료할 생각이다"고 설명했다.
마약류 중독 치료는 약물치료란 좁은 의미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닌 재활교육과 약물치료, 사회재활이 유기적으로 이뤄지는 넓은 의미로 확장돼야 한다고 지적이 나왔다. 또 다른 발제자인 장옥진 인제대해운대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마약관리센터는 미국의 국립약물중독연구소(NIDA)와 같이 독립적인 예산 운영 등을 기반으로 생애 주기별 치료를 해야 한다"며 "NIDA는 기초과, 예방, 치료, 공중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이처럼 치료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한 기관에서 책임지고 해야 마약류 중독 치료라는 임무를 달성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치료의 의미를 넓은 의미에서 접근해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는 10~20대 마약류 중독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마약류 사범에서 40~50대의 비중이 높던 과거와 달리 10~20대 마약류 사범의 비율이 높다는 의미는 마약류의 중독에 빠지는 나이가 점점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10~20대들은 리세르그산디에틸아미드(LSD)와 엑스터시(MDMA), 케타민 등 신종 마약류를 주로 하는데, 이들 마약류는 가시적인 후유증이 필로폰과 같은 '올드 마약류'에 비해 적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다 보니 마약류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사회에 사회재활의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과제도 남았다. 조 전문의는 "병원에서 약물치료가 이뤄진다고 해도 지역사회에서 사회재활을 하지 못하면 이건 공염불에 불과하다"며 "다만 조응천 전 국회의원이 제정한 법안, 다시 말해 초·중·고교 경계로부터 200m 안에는 마약류나 알코올 등 중독자 재활시설을 설치할 수 없게 만든 법안 때문에 민간에서 재활센터를 만들기도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럴 바에 차라리 정부가 기존에 있는 민간재활센터를 위탁 운영하는 형식으로 사회재활의 인프라를 지역사회에 넓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kyu0705@fnnews.com 김동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