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연구자 및 논문 9, 12위권
인공지능위 계기 세계3위 도약을
인공지능위 계기 세계3위 도약을
지난해 국가별 AI 산업 종합 수준을 비교한 '글로벌 AI 지수'를 봐도 한국의 위상은 기대에 못 미친다. 글로벌 AI 지수 면에서 우리나라의 수준은 62개국 가운데 종합 6위다. 미국과 중국이 1, 2위를 차지했다.
6위라 하면 상위권인 듯하지만 세부 수치를 들여다보면 착시에 불과하다. 총점을 기준으로 1위 미국을 100으로 볼 때, 2위 중국은 61.5다. 이어서 3위 싱가포르가 49.7이고 6위 한국은 40.3, 7위 이스라엘은 40.0이다. 1, 2위를 제외한 3~7위권은 40점대에 머물러 있어 1, 2위와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6위 한국은 40.3인데, 상위 10개국 평균인 48.5에 한참 뒤진다. 우리나라 AI 역량의 현주소다.
미래를 지배할 기술 AI 경쟁은 거대 자본투자가 선행된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약육강식과 같다. 최상위권 경쟁 대열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살아남기 힘든 산업이다. 그래서 우리 정부도 2030년 AI 세계 3강(G3) 도약을 목표로 내세웠다. 문제는 현재 노력하는 추세로 보면 G3는커녕 G5에 안착하는 것도 어렵게 생겼다.
다행히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조만간 출범하기에 이 조직에 대한 기대가 크다. 그러나 정부의 주도만으로 AI 생태계가 자동적으로 조성되지 않는다. 3가지 핵심 과제가 풀려야 한다. 먼저 국회의 역할이다. AI에 대한 규제와 활성화를 모두 담보하는 입법이 속도를 내야 한다. AI 관련 제도가 없으니 기업이 중장기적 투자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서둘러 제도로 기업이 뛰어놀 수 있도록 뒷받침해줘야 한다.
둘째, 민간기업의 혁신 마인드가 요구된다. 여러 조사에서 우리나라 AI 산업의 최대 취약점으로 지적되는 게 바로 AI 관련 민간투자다. 문어발식 사업확장으로 눈총을 사고 있는 일부 빅테크 플랫폼 업체들의 AI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떨어진다. 손쉽게 이익을 낼 곳에 안주하지 말고 AI에 승부를 거는 사업 마인드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AI 관련 인재 확보다. 인재들의 의대 쏠림을 막고 미래 기술 AI 전문인력 양성에 매달려야 한다. 출범을 앞둔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AI 생태계를 조성하는 'AI 빅텐트'가 되기 바란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