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건·사고

수십년 만에 기적같은 재회... 유전자 검사제도가 큰 역할 [잃어버린 가족찾기]

이진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8.19 18:13

수정 2024.08.19 18:13

해외 입양인 가족찾기 성과 빛나
입양인 유전자 정보 국내로 보내
등록된 실종자 가족과 대조 진행
상봉 가족 늘자 사후지원 확대도
40년 전 실종돼 미국으로 입양된 박동수 씨(화면)와 친모 이애연 씨(83) 등 가족들이 정부의 유전자 검사제도를 활용해 지난 18일 극적으로 상봉했다 경찰청 제공
40년 전 실종돼 미국으로 입양된 박동수 씨(화면)와 친모 이애연 씨(83) 등 가족들이 정부의 유전자 검사제도를 활용해 지난 18일 극적으로 상봉했다 경찰청 제공
"엄마, 너무 보고 싶었어요. 매일 생각해요. 얼마나 찾았는지 몰라요."

다섯살 때 실종돼 가족과 헤어졌던 박동수씨(45)는 지난 40년간 찾아 헤맸던 가족을 최근 화상통화로 만났다. 박씨는 1984년 어머니를 찾겠다며 경남 김해의 친척집을 나섰다가 실종됐다. 박씨가 40년간 그토록 그리워했던 어머니 이애연씨(83)는 화면 속 아들의 얼굴만 멍하니 바라봤다.

가족들이 박씨를 찾을 수 없었던 건 1985년 박씨가 미국으로 입양됐기 때문이었다. 박씨는 가족들을 찾기 위해 대학생 시절인 지난 2001년부터 여러 차례 한국을 방문했다. 뿌리를 찾기 위한 방문이었지만 늘 빈손으로 돌아가야만 했다. 그러던 박씨의 상황은 대구 달서구 소재 계명대 어학당을 다녔던 지난 2012년 경찰서에서 유전자 등록을 하면서 달라졌다. 등록 당시 일치하는 유전자 등록 정보가 없었지만 친형인 박진수씨가 지난 2021년 잃어버린 동생들을 찾겠다며 실종신고를 하게 되면서 헤어진 동생 박씨와 연이 닫게 됐다.


이처럼 해외로 떠난 입양인은 정부의 '해외 한인 입양인 가족 찾기' 제도 덕분에 가족을 찾기에 용기를 내고 성과로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유전자 검사 제도를 통해 잃어버린 가족 찾기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한다. 해외 한인 입양인 가족 찾기 제도는 한인입양인이 입양정보공개 청구, 재외공관 유전자 채취 등의 과정을 거쳐 채취된 유전자 검체를 외교행낭으로 경찰청에 보내 실종자 가족 유전자 정보와 대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정부는 관련 제도를 확대 운영할 예정이며 상봉 이후 행정 등 사후관리 지원 사업도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19일 경찰에 따르면 아동권리보장원과 경찰청, 외교부는 지난 2020년부터 해외 한인 입양인 가족 찾기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제도 시행 이후 박씨의 사례처럼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가족을 찾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4세에 가족과 헤어지고 3년 뒤 입양된 김장미씨(58)는 성인이 되고 나서 30년 동안 가족을 찾았다고 한다. 김씨는 세차례 한국을 방문했지만 정보가 부족해 가족 찾기는 쉽지 않았다. 그러던 김씨는 지난 7일 어머니인 김명임씨(80)와 극적으로 상봉했다. 김명임씨가 지난 2017년 유전자를 등록한 덕에 만남이 성사될 수 있었다.
이들은 광주 남구 충현원에서 54년만에 마주했다고 한다.

아동권리보장원은 경찰청과 함께 '실종아동 등 사후관리 지원 사업'을 통해 가족들의 상봉 이후 행정절차, 비용 및 심리상담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입양인 뿌리 찾기를 위한 전산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