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낙상사고.. 응급실서 이마 8㎝ 꿰매

[파이낸셜뉴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낙상사고 이후 응급실 22곳에서 거절당한 사연을 전했다. 이와 함께 "의료체계가 무너지면 정권 자체도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22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김 전 위원장은 이마에 밴드를 붙이고 나와 눈길을 끌었다.
이에 그는 "전날 새벽에 넘어져 이마가 깨졌다"며 "(소방대원이) 새벽에 피투성이가 된 사람을 일으켜 갔는데 응급실 가려고 22군데 전화했는데 안 받아줬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김 전 위원장은 또 "자주 다니던 병원에 신분을 밝히고 갔는데 의사가 없었다"며 "그것을 솔직히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1977년 건강보험 제도를 도입해 50년간 사회의료체제가 안정적·효율적으로 운영돼 왔다"며 "그런데 이번에 의대정원 증원 문제로 의료대란이 나서 의료체계에 적지않은 손상이 올 우려가 있다. 이게 무너지면 정권 자체도 유지하기 힘들다"고 꼬집었다.
이어 정부의 무리한 의대증원 추진정책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김 전 위원장은 "과거 전두환 대통령도 전문가 의견을 존중했다"며 "대통령이 과연 의료에 대한 지식이 충분히 있는 사람이냐. 자기가 모르는 걸 확신을 갖고 밀어붙이려고 하니 여러 부작용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내가 예전에 전두환 대통령 시절에 '대통령이 잘 알지도 모르는 부분에 대해 확신을 갖고 하느냐'고 직접 말했다가 불경하다고 혼도 났다"면서도 "그래도 전 대통령은 결국 (전문가 말을 듣고) 후퇴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진 않았다"고 덧붙였다.
여당을 향해서도 "국민의힘 자체가 그런 문제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해서 정부의 시책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해야 하는데 당이 그런 역할을 못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