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정갈등 장기화 속에 보건의료노조는 총파업을 결의, 29일부터 행동에 나설 예정이다. 다만 서울대병원 등 '빅 5' 병원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을 전망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전체 조합원 중 약 70%가 간호사다.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을 떠나면서 간호사들은 빈자리를 채웠지만 정상화가 멀어지면서 피로와 부담감이 한계 수준에 도달했고 행동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번 총파업에는 노조 소속 61개 사업장(공공병원 31곳·민간병원 30곳)의 조합원(응급실·중환자실 등에 근무하는 필수유지 업무 인력 제외)들이 참여할 전망이다.
노조는 병원들이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하며 강제 연차휴가 사용, 무급휴가, 무급휴직, 원하지 않는 응급 오프, 부서 이동 등의 불이익을 줬으나 그동안 노동자들은 환자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현장을 지켰다고 강조했다. 또 PA 간호사 등도 업무를 하며 버텼지만 더 이상 견디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에 병원은 노조의 임금인상 요구 등 요구조건을 적극 수용하고 정부는 공공·필수·지역의료를 살리고 왜곡된 의료체계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공의들의 빈자리를 현재 교수들과 간호사들이 감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간호사들이 파업에 나선다면 의료공백 사태는 심각해질 전망이다. 최근 응급실 마비 사태가 벌어지고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라 병상 부족 우려가 있는 가운데 총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자칫 의료대란으로 번질 가능성도 큰 상황이다.
현재 정부는 보건의료노조를 설득하고 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5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를 통해 "의료현장의 혼란으로 고생하는 보건의료노조의 고민과 어려움도 이해하지만 환자와 국민의 불안한 마음을 다시 한 번 헤아려 주길 바란다"며 "정부는 의료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