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윤 "노동 핵심은 유연성…시간·형태 자유선택권 줘야 기업·근로자 성장"

뉴시스

입력 2024.08.29 13:05

수정 2024.08.29 13:05

"자본-노동시장 엇박자…노동도 글로벌스탠다드 찾아야" "정년 지나도 근로할 수 있게…공정보상도 유연성 문제" "미조직 근로자 등 노동약자 국가보호 강력히 구축해야"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열린 국정브리핑 및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08.29.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열린 국정브리핑 및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08.29.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박미영 최영서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노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연성"이라며 "근로 연령, 임금, 노동 시간, 근로형태 등 유연성을 통해 기업이 성장하고 근로자 보상이 함께 좋아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정브리핑 및 기자회견'을 통해 노동 개혁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자본시장은 글로벌스탠다드에 맞게 바꿨는데 노동시간이 안바뀌는 엇박자가 나고 있다"며 "이제 노동도 글로벌 스탠다드를 찾아가야 되고, 가장 중요한 것은 유연성"이라고 했다.

이어 "유연성이라는건 근로 형태에 자유로운 선택권을 가질수 있게 끔 해주는 것"이라며 "정년이 지나고 나서도 충분히 사회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막연하게 정년 연장이라기보다 어떤 연령까지는 숙련도와 노동강도라는 측면서 높은 임금을 받을만 하다하면 임금피크로 올라갔다 조금씩 (임금이)내려오는 그런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원청업체에 근무를 하든 협력업체에 근무를 하든 하는 일에 따라서 좀 공정하게 또 보상을 받는 문제도 크게 보면 다 유연성의 문제"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노동약자에 대한 국가의 역할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미조직 근로자 보호와 같은 노동약자에 대한 국가보호는 강력하게 구축해 놓고, 미조직 근로자 같은 경우에 공제조합이나 사회적 안전망도 튼튼하게 해야 된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ypark@newsis.com, youngagai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반도체 산업, 주52근무제 예외되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반도체특별법'에는 반도체 업종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예외로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집단마다 의견이 갈려 아직까지 반도체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경영계에서는 근무 시간 규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주 52시간 근무제에서 반도체 산업을 예외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