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의 늪' 3개 반기 연속 적자
상반기 3904억 적자에..'한숨'
충당금 부담 커.. '부동산 경기가 관건'
상반기 3904억 적자에..'한숨'
충당금 부담 커.. '부동산 경기가 관건'
[파이낸셜뉴스] 금리인하 시기가 다가왔지만 저축은행업계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상반기 3800억원이 넘는 적자를 낸 데다 금융당국발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마저 나온다.
금융당국은 최근 국제결제은행(BIS) 권고 기준에 미달한 저축은행 상상인·상상인플러스·라온·바로저축은행에 자본조달계획을 제출하라고 지도했다.
2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전국 저축은행 79곳은 모두 380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3개 반기 연속 적자로 적자 폭은 전년동기 대비 2839억원, 전분기 대비 2261억원이 확대됐다. 저축은행업계는 지난해 1·4분기 52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뒤 6개 분기 연속으로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실적 부진의 배경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PF 부실이다. 금융감독원이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강화하면서 저축은행업계는 4000억원 규모의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지난해 말 1조9558억원 규모였던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올해 6월 말 2조3285억원으로 불어났다.
자산 건전성 지표도 나빠졌다. 6월 말 기준 연체율은 8.36%로 6개월 전(6.55%)보다 1.8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PF가 포함된 기업대출 연체율은 8.02%에서 11.92%로 3.9%포안트 급등했다.
대표적인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비율은 11%를 돌파했다. 지난해 말 대비 3.77%포인트 상승한 11.52%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자산건전성이 크게 나빠진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금융당국이 경영실태평가 결과 적기시정조치까지 내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미 금융감독원은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권고치를 밑돈 상상인·상상인플러스·라온·바로저축은행에 자본조달계획을 요구한 상황이다.
BIS 비율은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 비율이다. 자본적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저축은행 BIS 규제비율은 자산 1조원 미만은 7%, 1조원 이상은 8%다. 금융당국은 3%포인트의 버퍼를 더해 각각 10%, 11%의 권고기준을 마련했다. BIS 비율이 권고치를 하회하면 금감원은 유상증자 등의 자본확충 방안을 담은 자본조달계획을 요구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주도하는 저축은행업계 구조조정설까지 제기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적기시정조치는 경영실태 평가결과와 금융회사가 제출한 경영개선계획의 타당성 등을 검토해 결정될 사항"이라며 "아직 조치 여부 및 시기 등에 대해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금리인하 시점만을 보고 버텨온 업계 입장에서 당국의 구조조정 움직임이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이라며 "당장의 부동산 PF 부실 사업장의 경공매 조치도 금리인하기 경기 변동에 맞춰야 하는데 막무가내식으로 밀어붙이는 것 같아 힘겹다"고 말했다.
상반기 기준 저축은행 업계의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약 16조원에 달한다. 이중 '부실우려' 등급(D등급)을 받은 자산만 3조2000억원이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지난달 30일 "당분간 이익을 내는 것보다 방어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면서 "올해 하반기나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부실자산을 정리하면서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자본 구조를 보면 충분히 감내할 수준"이라면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역대 최고 수준이며 저축은행권은 2014년부터 2022년까지 8년간 약 10조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고 전했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