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外治 재개하는 尹대통령, 뉴질랜드·日과 릴레이 정상회담

김학재 기자,

김윤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9.03 16:40

수정 2024.09.03 16:40

뉴질랜드 총리, 4~5일 방한
기시다 총리, 6~7일 방한
인태 파트너로 러북 협력 견제
퇴임 앞둔 기시다와 한일 관계 연속성 이어가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월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4개국(IP4)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 기시다 일본 총리, 리처드 말스 호주 부총리 겸 국방장관. (대통령실 제공) /사진=뉴스1화상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월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4개국(IP4)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 기시다 일본 총리, 리처드 말스 호주 부총리 겸 국방장관. (대통령실 제공)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주 잇따라 해외 정상들을 만나 외치(外治)의 시간을 가진다.

지난 7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워싱턴 정상회의 기간 인도·태평양 파트너 4개국(IP4) 정상 회동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경제협력 강화에 함께 우려를 표했던 뉴질랜드, 일본 정상과 잇따라 만나는 것으로 윤 대통령은 양국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인·태 지역에서 협력 범위를 넓힐 국가들과의 릴레이 정상회담으로 협력을 보다 구체화하고 연속성을 유지하겠다는 목표다.

3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4~5일에는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가 공식 방한하고, 6~7일에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방한한다.

윤 대통령은 럭슨 총리와 회담을 갖고, 양국 간 실질 협력 방안을 비롯해 지역 및 국제무대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나토 정상회의에서 IP4 정상회동을 통해 외교안보 측면에서 협력을 공고히 할 기반을 구축한 만큼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간 협력은 보다 상세히 논의될 전망이다.


아울러 기시다 일본 총리가 방한을 공식적으로 밝힌 대통령실은 기시다 총리가 퇴임을 앞두고 한일 셔틀 정상외교 차원을 넘어 임기중 '유종의 미'를 거두고 양국간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방한을 적극 희망해 이번 정상회담이 성사됐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그동안 11차례 한일 정상회담을 가진 가운데, 대통령실은 이번 양측간 마지막 정상회담을 통해 기시다 총리와 함께 만들어온 한일 협력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한일간 양자 협력, 역내 협력, 글로벌 협력 발전 방향을 논의하겠다고 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시다 총리는 그간의 총리 경험을 바탕으로 후임 총리의 대외 정책과 향후 한일관계 발전에 대해 건설적인 조언을 계속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한일 관계 개선을 추진하면서 기시다 총리 체제의 일본은 한일 관계 정상화에 나섰고, 그 결과 한미일 협력 확대로 이어지는 등 한일·한미일 관계는 어느 때 보다 활성화됐다는 평가다.

이달 말 퇴임하는 기시다 총리의 방한을 놓곡 일각에선 선물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그 보다 정상화된 한일 관계를 지속할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집중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린다.

퇴임을 앞둔 만큼 기시다 총리가 과거사 언급 여부에 있어 부담이 적을 수 있지만 단순한 립서비스 보다 일본 측의 행동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연속성을 이어갈 성의있는 조치가 더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이번 정상회담 자체가 일본의 차기 총리에 관계없이 한일 관계 개선은 계속될 수 있게 양국 정상이 의지를 보여주는 메시지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 입장에서 기존의 총리와의 관계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일본 총리와의 어떤 관계를 형성해 나가느냐도 중요하다"면서 "정상 간의 신뢰라는 게 강조가 계속됐었고 기시다 이후 다음 총리와 언제 어떻게 잘 꾸려나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과제가 있다"고 말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김윤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