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이 가계대출 증가세 관리 차원에서 전세자금대출·주택담보대출 물량관리를 강화하면서 실수요자의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까지 전세나 매매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예비 임차인 등은 언제까지 대출규제가 이어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KB국민·신한·우리은행이 주담대 만기를 최장 30년으로 축소하자 실수요자들은 대출한도 축소를 우려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잔금 날짜를 내년 초로 잡아야 하나" "10월에는 은행 대출여력이 없어진다. 최대한 빨리 받는 게 낫다"는 등 대출 시기를 두고 고민하는 수요자들이 많다.
특히 은행마다 대출규제가 제각각이라 수요자들은 "갑자기 은행 정책이 바뀌어서 당황스럽다"면서 금리가 낮고 한도가 많은 은행을 공유하고 있다. 올 연말 주택구입을 계획했던 한모씨는 "워킹맘이라 은행을 다니기 어려운데 며칠 사이에 무슨 일인지 모르겠다"면서 "지인에게 물어보기도 어려워 온라인 카페 등을 통해 대출이 나오는 은행을 알아보고 있다"고 전했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은 대출 접수 시작과 동시에 한도가 소진되는 '오픈런'이 반복되고 있고, 대출 수요가 많은 KB국민은행은 접속량이 급증하면서 'KB스타뱅킹' 앱의 접속장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에 일각에서는 "일부 은행의 비대면 주담대 신청 접수가 막혀 있다"는 소문이 떠돌고 있다. 하지만 은행들은 비대면 주담대 신청 접수를 전면 중단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은행들은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한시적 중단 및 제한' 정책을 언제까지 지속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습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준이 다르면 실수요자에게 혼란을 주지만 기준을 맞추면 담합이 될 수도 있어 혼란을 줄이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며 "은행 간 대출 제한 정책에 차등이 없으면 다시 금리를 보고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이 실수요자, 특히 무주택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은행들에 '효과적'인 방법을 당부한 것과 관련, 일부 은행이 실수요자를 위해 전세대출 제한 방안을 손질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집이 있어도 다른 지역에 전세로 살아야 하는 실수요자나 신축 아파트에 입주하는 임차인 등 실수요자에게 전세대출 중단을 한 정책 등이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박소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