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늦었습니다."(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가전 수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개최된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4'에서 로보락을 비롯한 중국 업체들에 비해 로봇청소기 시장에 '지각 참전'한 것을 시인했다. 지난 4월 올인원 로봇청소기를 선보인 삼성전자에 이어 LG전자도 이달 15일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로봇청소기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中 이모님' 더 납작해지고 똑똑해진다
중국 가전업체 메이디의 자회사 유레카도 로봇청소기 신제품인 'J15 프로 울트라'를 IFA 2024에서 공개했다. J15 프로 울트라는 최대 1만6200파스칼(Pa)의 흡입력을 갖춘 제품으로 △엉킴 방지 △셀프 클리닝 기술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스마트 청소모드 등의 기능을 갖췄다.
유레카 관계자는 "가장자리까지 물걸레질을 할 수 있도록 1.36㎜의 정밀 간격으로 98.95% 가장자리 범위를 보이고 있다"며 "AI 기능과 센서를 통해 방의 유형과 바닥재를 지능적으로 평가해 최적의 청소 전략을 적용한다"고 자랑했다.
중국 기업인 드리미는 침대 밑 공간 등을 청소하기 위해 제품 두께를 낮추는 대신 튀어나와 있는 라이다 센서를 집어넣는 방식을 공개하기도 했다.
로봇청소기 아킬레스건 파고드는 삼성·LG
삼성전자는 지난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 '스마트 포워드'를 통해 스팀집중모드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로 세정제 없이 물과 스팀만으로 냄새 유발 물질을 살균·탈취해 영유아나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가정에서 더욱 안심해 사용할 수 있다. 또, 삼성전자는 오는 4·4분기에는 스마트 포워드를 통해 '비스포크 AI 스팀'이 쓰러진 사람을 감지해 가족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다.
LG전자는 중국 실버스타그룹과 합작개발생산(JDM)하는 방식으로 LG 로보킹 AI 올인원을 지난달 말 선보였다. 세척 시 온수가 아닌 전용 관리제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양사는 물걸레의 위생을 중국 경쟁사 대비 개선시킴과 동시에 보안에 각별히 신경쓰고 있다. 로봇청소기가 3D 맵핑으로 집안의 구조를 인지하는 데다, 카메라를 통해 사물을 인식해 로봇청소기가 해킹되면 사용자의 각종 데이터가 노출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모바일에서 다져온 '삼성 녹스'를 비스포크 AI 스팀을 비롯해 AI 가전제품에 적용한다. LG전자는 자사 보안 개발 프로세스인 LG SDL을 적용했다.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해 외부의 불법적인 유출을 막는 방식이다.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