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인간 손길이 닿지 않는 곳도 위험해'… 해양동물 2.1만여종 멸종 위기 [알송달송 과학]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9.19 02:00

수정 2024.09.19 02:00

국제공동연구진, 해양동물 멸종 위험도 지도로 제작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위협요인 모두 포함
바다. 사진=김만기 기
바다. 사진=김만기 기


[파이낸셜뉴스] 살기 위한 일들이 죽음을 불러오고 있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겠습니까.

산업혁명 이전에는 기아와 영양부족, 추위와 더위 등 환경적인 문제를 피하기 어려워 사망자가 많았습니다. 산업혁명은 인류에 물질적인 풍요를 가져다 줬죠.

하지만 이 행복은 다른 불행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의식주에 필요한 대부분의 활동에서 온실가스가 나오고 이로 인해서 지구 전체의 기후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점점 폭염과 한파가 잦아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에어컨이나 난방장치를 더 많이 사용하죠. 그럴수록 온실가스 배출이 늘어나 기후에 영향을 미치면서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또 당장 생계를 위한 인간들의 활동이 자연 생태계 파괴를 불러오지만 이를 무턱대고 막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연구진이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동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지역을 지도화했다. 미국 남부해안가와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이아 지역의 해안가는 가장 높은 5단계 지역으로 조사됐다. NCEAS 케이시 오하라 박사 제공
연구진이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동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지역을 지도화했다. 미국 남부해안가와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이아 지역의 해안가는 가장 높은 5단계 지역으로 조사됐다. NCEAS 케이시 오하라 박사 제공
■육지에서 일어난 일이 바다까지 영향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국립 생태분석 융합센터(NCEAS) 연구진을 중심으로 스페인과 호주, 독일의 과학자들은 19일(한국시간) 과학분야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경고했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육지와 바다에서의 인간 활동이 기후 변화와 결합해 해안 생태계를 훼손하고, 전세계 2만1000여종 이상의 해양동물의 멸종 위험을 증가시키며, 인간이 의존하는 중요한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곳까지도 멸종 위험이 높은 종들이 서식할 수 있으며, 종의 다양성이 높은 많은 해안 지역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산호. 게티이미지 제공
산호. 게티이미지 제공
■산호·오징어·성게·새우 등 멸종 위험 높아

연구진은 이같은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불러오는 스트레스 요인이 해양 생태계 어디에서,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그래서 인간활동이 해양동물에 주는 영향을 예상하고, 어업, 해운, 육지 기반의 위협을 포함한 모든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노출과 취약성을 고려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기후 변화로 인한 영향을 다른 인간이 만들어낸 스트레스 요인과 중첩된 지역을 구분하고, 전 세계 해양에 걸친 영향을 지도화했습니다.

그결과, 기후 변화로 인한 영향, 즉 해수면 온도 상승과 해양 산성화가 인간이 직접적으로 주는 다른 스트레스 요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제주 서귀포 섶섬 연안에서 발견된 미기록 딱총새우류.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제주 서귀포 섶섬 연안에서 발견된 미기록 딱총새우류.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이중 산호는 가장 큰 위험에 처한 해양 생물군으로 밝혀졌으며, 오징어와 문어를 포함한 연체동물, 불가사리와 성게 같은 극피동물, 새우, 게, 바닷가재 같은 갑각류도 높은 위험에 처한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NCEAS 케이시 오하라 박사는 "독점적인 해양 보호구역과 같은 광범위한 보호 조치는 해양 생물 다양성 보존에 효과적이지만, 지역 주민들에게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하거나 정치적 반대를 일으킬 수 있다"며, "이번 연구가 정치적으로 실현 가능하고 비용 효과적인 목표 지향적 개입의 기회를 밝혀내,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어업 장비 규제, 농업 개선을 통한 영양분 유출 감소, 해상 운송 속도 감축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