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소방, "화재 시 실내보다 화장실이 더 위험"

최승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9.25 17:59

수정 2024.09.25 17:59

일산화탄소가 가득한 공간에서 물을 분사하는 실험 모습. 일산화탄소 농도는 연소가 멈출 때까지 감소하지 않았다. 부산소방재난본부 제공
일산화탄소가 가득한 공간에서 물을 분사하는 실험 모습. 일산화탄소 농도는 연소가 멈출 때까지 감소하지 않았다. 부산소방재난본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화재 발생 시 화장실로 대피하는 것보다 문틈을 막고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안전하다는 소방 실험 결과가 나왔다.

부산소방재난본부는 지난 7월 부산 사하구의 한 아파트 화재 발생 시 거주자가 화장실로 대피해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화장실 대피의 위험성을 알리는 화재 재현 실험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소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부산에서 발생한 화재 사망자는 82명으로 그중 4명은 주거시설 내 화장실에서 숨졌다.

화장실은 환기와 배수를 위해 배수구가 수직배관으로 이어져 있으며, 화재 연기는 열기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다. 아래층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위층 화장실로 연기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 위험하다는 것이 소방의 설명이다.

이에 소방은 철거 건물을 활용해 화재가 발생한 위층 화장실로 대피했을 때의 화염·유독가스 위험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물을 분사할 경우 연기·열기의 차단 여부, 일산화탄소 농도 감소 여부 등도 함께 확인했다.

실험 결과 아래층에서 화재가 발생 9분 후 위층의 유독가스인 일산화탄소 농도는 현관문이 개방된 안방이 6만 2970ppm, 문이 닫힌 화장실은 1만 5864ppm까지 측정됐다.
반면 문틈에 방열 테이프를 붙인 방에는 연기가 들어오지 않았다.

화장실 문이 닫힌 상태에서 샤워기로 물을 뿌리더라도 연기는 계속해서 유입됐으며, 밀폐된 공간에서 일산화탄소 농도는 물을 뿌리더라도 연소가 종료될 때까지 줄어들지 않았다.


소방 관계자는 "불이 난 경우 신속하게 옥상이나 건물 밖으로 대피해야 한다"라며 "다른 곳에서 불이 났다면 119에 신고 후 화염과 연기가 유입되지 않는 실내에 문틈을 막고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안전하다"라고 말했다.

425_sama@fnnews.com 최승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