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우주 연구 컨트롤타워 'KAIST 우주연구원' 개원..."연간 600억원 예산 목표"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9.30 16:06

수정 2024.09.30 16:06

KAIST 우주연구원 30일 개원
올해 450억 예산으로 시작
향후 650억까지 규모 확대
5년후 400명 조직으로 운영
한재흥 KAIST 우주연구원 원장이 9월 30일 KAIST 우주연구원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KAIST 제공
한재흥 KAIST 우주연구원 원장이 9월 30일 KAIST 우주연구원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KAIST 제공

[파이낸셜뉴스] 미래 우주분야 임무와 핵심 연구 수행을 총괄하는 연구소가 만들어진다. KAIST는 9월 30일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우주연구원' 개원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 국회의원 등 우주 관련 산·학·연 관계자 300여명이 모였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이날 "대학에서 인공위성을 개발해 운용하는 사례는 세계적으로 많지 않다"며, "우주연구원이 잘하는 것을 더 잘하도록 돕고 부족한 것을 채워 세계 최고의 연구원이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9월 30일 밝혔다.
우주연구원은 KAIST 내 다양한 부서에서 산발적으로 운영돼온 우주 분야 연구 조직을 통합한 조직이다. 현재 운영하고 있는 인공위성연구소를 주축으로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와 우주핵심기술연구소, 우주융합기술연구소가 추가 설치된다.
또한 한화스페이스허브-KAIST 우주연구센터, 페리지-KAIST 로켓연구센터, 미래우주교육센터가 우주연구원 소속으로 재편된다.

연구인력은 4~5년후 400여명으로 늘어난다. 연구원은 올해 약 450억원 규모의 예산으로 인공위성연구소의 각종 체계 개발 사업과 대전 우주클러스터사업인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 미래우주교육센터, 특화센터 사업, 산학 협력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한재흥 연구원장은 "운영 안정기에 들어서는 2028년 이후에는 연간 600억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원장은 "우주연구원은 우주항공청이 항공우주연구원이나 천문연구원 등을 통해 대형 우주개발 사업을 본격 진행하기 전, 필요한 우주기술을 미리 개발하고 실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미 항공우주청(NASA)과 JPL우주센터간 역할과 비슷하다.

우주연구원은 '우리별1호 귀환 프로젝트'를 비롯해 앞으로 다양한 우주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우주 인재도 양성한다. 우선 인공위성연구소는 올해 4월부터 2027년까지 447억원을 투입해 능동제어 실증위성인 '우리별1호 포획 위성'을 개발, 누리호로 쏘아올릴 계획이다. 이 위성의 임무는 지구 궤도에서 떠돌고 있는 우리별 1호를 로봇팔로 포획, 대기권으로 밀어내 태워 없앤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랑데뷔, 도킹 기술 등 다양한 우주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이 기술개발이 성공하면 지구궤도에 있는 1억3000만여개의 위성과 우주 파편, 로켓 잔해 등 우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또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에서는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 구축 사업 중 대전지역 인재·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우주 교육 환경을 구축하며, 미래 우주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한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