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적조,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생물다양성 증가 효과 입증

변옥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10.17 15:10

수정 2024.10.17 15:10

KIOST·중앙대 공동연구팀, 해당 내용 연구 입증
[파이낸셜뉴스] 바다 플랑크톤의 갑작스런 번식 급증으로 나타나는 적조 현상이 양식장 피해 등을 불러오지만, 마냥 나쁜 것만은 아닐 수도 있다는 이색적인 연구 결과가 국내에 나와 이목이 집중된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적조 현상은 동물플랑크톤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최근 중앙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적조 현상이 해양생태계 내 동물성 플랑크톤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달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적조 발생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식도. 당장의 양식생물 집단 폐사 등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적조에 적응한 생물들의 번식을 자극해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영향도 있음이 최근 발견됐다. 그래픽=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적조 발생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식도. 당장의 양식생물 집단 폐사 등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적조에 적응한 생물들의 번식을 자극해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영향도 있음이 최근 발견됐다. 그래픽=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해당 연구논문명은 ‘적조 발생이 동물플랑크톤 생물다양성의 증가를 촉진하는가?’로, Environmental Pollution Journal 9월호에 실렸다.

주로 여름철에 발생하는 적조는 바다에 분포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인 ‘코클로디니움’이 급격히 증식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플랑크톤은 어류의 아가미에 붙어 산소 교환 능력을 떨어뜨려 어류를 폐사시키는 등 양식 물고기와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KIOST 이윤호 박사 연구팀과 중앙대 윤성일 교수팀은 지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남해안 통영 해역에서 적조 발생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유전자 분석을 통해 규명해 왔다.

7년간 적조가 발생한 해와 그렇지 않은 해를 비교한 결과, 적조 발생 해에 동물 플랑크톤의 생물다양성이 미발생한 해보다 25%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적조가 생긴 해에는 해양생태계를 갖추는 최대 우점종인 ‘요각류’의 비율이 줄어든 반면 ‘새각류’, ‘극피동물’ ‘연갑류’ ‘환형동물’과 같은 다양한 생물의 유생 비중이 늘어났다.
전체적으로 생물다양성이 높아진 것.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적조에 적응한 저서무척추동물과 같은 일부 생물들이 바다에 깔린 적조를 ‘산란의 신호’로 받아들여 번식에 유리한 조건으로 활용하게 됐다고 봤다. 적조가 반복되는 환경에서 번식을 이어온 생물들은 점차 적조에 대한 내성이 강화되고 적조 현상을 되레 생존에 이용하는 방향으로 진화될 수 있다는 결론이다.


이희승 KIOST 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적조 현상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매우 복합적임을 알 수 있었다”며 “앞으로 적조가 해양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