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최근 10년 사이 성조숙증 환자가 2.6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성조숙증 환자는 2014년 9만6733명에서 지난해 25만1599명으로 160% 늘었다. 올해도 7월까지 벌써 19만4803명이 성조숙증을 진단받았다.
조발 사춘기로도 불리는 성조숙증은 이차 성징이 이르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여자아이가 8세 이전에 가슴이 발달하고 남자아이가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거나 음모가 발달하면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다.
성조숙증의 원인으로는 서구화한 식습관, 소아 비만, 환경 호르몬 등이 거론된다. 성별로 나눠 보면 성조숙증을 겪는 아이들 대부분이 여아였다. 다만 그 비중은 줄고 있다. 성조숙증 환자 중 여아 비중은 2014년 91.9%에서 지난해 80.7%로 줄었다. 그만큼 남아들 사이에서 성조숙증이 늘어난 셈이다.
특히 여아의 경우 대부분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인 반면, 남아는 절반 정도에서 뇌종양이나 갑상샘 저하증 등 기저 질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조숙증의 주요 증상은 여아의 경우 유방 발달과 생리 시작, 남아는 고환 크기 증가와 음모 발달 등이다. 성별에 관계없이 체취 변화, 여드름, 급격한 키 성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신체검사와 호르몬 검사를 통해 이뤄진다. 골연령 검사로 뼈의 성숙도를 평가하고 혈액검사로 성호르몬 수치를 측정한다. 필요시 뇌 MRI나 초음파 검사도 시행한다.
치료는 주로 성호르몬 분비를 억제하는 GnRH 작용제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사춘기 발달을 지연시키고 최종 성인 키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치료 기간은 보통 2~5년 정도다.
의료계에서는 "성조숙증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치료 시기를 놓치면 최종 키가 작아질 수 있고 심리사회적 문제도 생길 수 있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성조숙증 예방을 위해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환경호르몬 노출을 줄이는 것이 도움 된다고 강조한다. 부모들은 자녀의 성장 발달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이상 징후가 있으면 조기에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박 의원은 "성숙이 지나치게 빨라지면 성장 호르몬 불균형으로 성장판이 조기에 닫힐 우려가 있고, 아이들에게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각종 질환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hnman@fnnews.com 안승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