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 가치 떨어뜨린다는 보고서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10.21 18:46

수정 2024.10.21 19:17

순기능 있지만 기업 기반 약화시켜
지배구조 개편 관련 입법 숙고해야
행동주의 캠페인 전후 기업가치의 상대적 변화 /사진=뉴시스
행동주의 캠페인 전후 기업가치의 상대적 변화 /사진=뉴시스
최근 국내외 행동주의 펀드들이 국내 기업의 소수 지분을 확보해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행동주의 펀드가 순기능보다 역기능을 한다는 조사가 나와 주목을 끈다. 행동주의 펀드는 불투명한 경영과 취약한 지배구조를 지닌 기업의 주식을 집중 매수해 지배구조 개선이나 배당금 확대와 같은 주주 환원책 강화를 요구한다. 표면적으론 기업가치를 높이는 순기능 역할 때문에 지지를 받는다. 그러나 기업의 가치 제고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1일 '행동주의 캠페인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란 보고서를 통해 행동주의 펀드의 역기능을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행동주의 펀드가 경영에 개입하면 기업가치가 오를 것이란 막연한 기대감을 갖는다. 그런데 이 보고서 분석에 따르면 이는 사실이 아니다.
한경협은 지난 2000년 이후 행동주의 캠페인을 겪은 미국 상장사 970개사를 대상으로 기업가치 변화를 분석했는데 행동주의 캠페인이 성공한 기업은 547개사, 실패한 기업은 421개사로 나타났다.

행동주의 캠페인이 실패한 기업들의 기업가치는 3년 이내에 83.9%에서 85.3%로 상승했다. 그러나 캠페인 성공 4년 이후엔 기업가치가 오히려 82.9%로 하락했다. 결과적으로는 행동주의 펀드가 경영에 영향을 미치기 전보다 기업가치가 더 떨어진 것이다.

행동주의 펀드의 영향력은 단기적으로 따져볼 사안이 아니다.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경영에 개입하면 단기적으로 고용과 투자 부문에서 다운사이징하는 성향을 보인다. 비대한 조직을 구조조정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그러면서 주주환원을 위한 배당은 늘린다. 회생이 어렵고 경영이 엉망인 기업을 살리려면 이런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건 사실이다.

그런데 자립 가능한 기업의 소수 지분을 사들여 이런 처방책을 밀어붙인 결과는 어떤가. 보고서는 장기적으로 고용과 투자 축소로 기업 기반이 약화될 수 있다고 밝힌다. 배당도 단기적으로 평균 14.9%로 반짝 증가할 뿐 장기적으론 캠페인 성공 이전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한다.

행동주의 펀드들의 한국 기업 흔들기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행동주의 펀드의 표적이 된 한국 기업은 지난 2017년 3개에서 지난해 77개로 최근 5년 사이 9.6배 늘었다고 한다. 올해 들어서도 행동주의 펀드 논란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국내 행동주의펀드 얼라인파트너스가 두산밥캣 지분 1%를 확보한 뒤 주주환원을 내세워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영국 기반의 행동주의 헤지펀드 팰리서캐피털도 SK스퀘어 지분 1% 이상을 확보한 뒤 기업가치 제고를 요구하고 있다. KT&G는 국내 행동주의 펀드 플래시라이트 캐피털 파트너스(FCP)의 공격을 수년째 받고 있다.

이 와중에 국회에서는 기업 밸류업을 위한 입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주주 확대, 집중투표제 의무화,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가 대표적이다.
지배구조의 투명성 제고와 주주친화적 시장을 만들기 위한 입법은 지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가 과도해서 결과적으로 단기적 수익을 좇는 행동주의 펀드들에 날개를 달아주는 건 아닌지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도입한 미꾸라지가 도리어 물을 흐리는 우를 범해선 안 될 것이다.

fnSurvey